반응형

공유기 포트포워딩 + 서버 오픈 방식의 위험성

홈서버 셀프 호스팅을 위해 DDNS에 자신의 IP 를 연결하고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 (Port forwarding) 을 통해 포트번호 22, 443, 80등을 PC와 연결하게되면 몇시간내로 해킹시도됨

해커는 해커봇을 통해 그냥 인터넷 전체를 24시간 상시 스캔중

  • 22 (SSH), 80/443 (웹), 3306 (MySQL), 5432 (Postgres), 6379 (Redis) 27017 (Mongo), 8080/8081 (관리 포트)

전체 IP에서 열린 포트 찾기, 즉시 공개홈서버로 등록하고 공격 자동화

  • SSH brute-force 공격
  • DB 무차별 접근
  • Redis/Mongo 접속
  • 웹 취약점 스캔
  • 취약한 라이브러리 공격
  • 관리자 페이지 우회
  • JWT 쿠키 공격
  • CVE 자동 공격
  • n8n 취약점 스캔
  • code-server 취약점 공격

DDNS + 포트포워딩은 보안 전문가들이 말하는 가장 위험한 홈서버 운영 방식

기업에서는 절대로 포트포워딩을 통해 서비스를 오픈하지 않음,

VPN / ZeroTrust / Cloudflare Tunnel/벤더사 Native 보안접근 사용

서비스 포트를 외부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다양한 솔루션 사용

보안 솔루션

1. Zero Trust Network Access (ZTNA)

Cloudflare Zero Trust Tunnel이 대표적인 ZTNA 솔루션입니다. 이는 전통적인 VPN과 달리, 모든 접근을 불신하고, 사용자, 기기, 요청의 컨텍스트를 지속적으로 검증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에만 접근을 허용합니다.

  • 주요 특징:
    • 마이크로 세그먼테이션: 네트워크 전체가 아닌 개별 애플리케이션 단위로 접근을 제어합니다.
    • 외부 노출 최소화: 애플리케이션의 포트가 인터넷에 직접 노출되지 않습니다 (터널링 방식).
  • 주요 서비스:
    • Cloudflare Zero Trust (Tunnel): 설정이 간편하고 광범위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 Zscaler Private Access (ZPA)
    • Palo Alto Networks Prisma Access
    • Perimeter 81

2. Virtual Private Network (VPN)

전통적인 방식이며, 사용자가 특정 네트워크에 원격으로 접속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사용자가 VPN 게이트웨이에 연결되면, 해당 네트워크 내부의 모든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 주요 특징:
    • 네트워크 레벨 접근: 한번 연결되면 네트워크 내부의 모든 포트와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어, 제어력이 낮고 보안 취약점이 될 수 있습니다.
    • 단일 실패 지점: VPN 서버 자체가 공격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주요 솔루션:
    • OpenVPN, WireGuard, IPsec 등의 기술을 이용한 자체 구축.
    • 상용 VPN 어플라이언스 (Cisco AnyConnect, Juniper 등).

3. 클라우드 벤더의 네이티브 보안 및 접근 서비스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들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구동되는 서비스 포트를 보호하기 위해 자체적인 접근 제어 및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A. AWS (Amazon Web Services)

서비스 용도 Cloudflare Tunnel과의 비교
AWS PrivateLink 서비스 포트의 노출 없이 VPC 간에 또는 온프레미스와 AWS 서비스 간에 안전한 연결을 제공합니다. Cloudflare Tunnel이 외부 사용자 접근에 중점을 둔다면, PrivateLink는 AWS 내/외부 사설 통신에 중점을 둡니다.
AWS Client VPN 관리형 VPN 서비스로, 원격 사용자가 VPC의 리소스에 안전하게 접근하도록 합니다. VPN 기술을 사용하며, ZTNA보다는 전통적인 네트워크 접근 방식에 가깝습니다.
AWS IAM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리소스 접근 권한을 사용자 및 역할 기반으로 정밀하게 제어합니다. 서비스 포트를 보호하는 것 외에, 누가 어떤 AWS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는지를 근본적으로 정의합니다.
Security Groups / NACL 인스턴스/서브넷 레벨의 방화벽 역할을 수행하여 특정 포트와 IP만 허용합니다. 가장 기본적인 포트 보호 방법입니다.

B. Oracle Cloud Infrastructure (OCI)

서비스 용도 Cloudflare Tunnel과의 비교
OCI Bastion Service SSH 접근을 위한 관리형 프록시 서비스로, 컴퓨트 인스턴스의 공용 IP 노출 없이 접근하게 합니다. SSH 기반 서버 관리 포트 보호에 특화되어 있으며, 전체 웹 서비스 포트 보호에는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Security Lists / Network Security Groups (NSG) 가상 클라우드 네트워크(VCN) 레벨 또는 인스턴스 레벨에서 방화벽 역할을 수행합니다. AWS의 Security Groups와 유사하며 기본적인 방화벽 보호를 제공합니다.

선택 요약 및 제안

보호 방식 최적의 사용 시나리오
Cloudflare Tunnel / ZTNA 인터넷을 통한 원격 사용자의 특정 웹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 접근을 가장 안전하고 세밀하게 제어하려는 경우. (외부 공격 표면 최소화)
VPN 네트워크 전체에 대한 접근이 필요한 IT 관리자나 개발자가 광범위한 네트워크 리소스에 접근해야 할 경우.
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비스 (PrivateLink, Bastion 등) 클라우드 환경 내에서 서비스 간의 사설 통신을 구축하거나, 특정 **클라우드 관리 포트 (SSH)**를 보호하려는 경우.

웹 호스팅 및 n8n 서버와 같이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나 워크플로우가 접근해야 하는 환경에서는 Cloudflare Zero Trust (ZTNA) 방식이 전통적인 VPN보다 보안성, 접근 제어의 용이성, 외부 노출 최소화 측면에서 가장 현대적이고 강력한 대안.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