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ocker-compose

docker-compose -f docker-compose.prod.yml down 
docker-compose -f docker-compose.prod.yml build --no-cache
docker-compose -f docker-compose.prod.yml up -d 

docker logs

docker logs name-nginx --tail 100 -f
docker logs name-fastapi --tail 100 -f

docker-compose down 후 up 만으로 수정사항 반영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이며, docker-compose build 까지 해야 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요? fastAPI, nginx를 사용중입니다.

Docker Compose에서 down/up만으로 충분한 경우와 build가 필요한 경우를 구분하는 핵심은 이미지 재빌드 필요 여부입니다.

down/up 만으로 충분한 경우
설정 파일 변경
docker-compose.yml 수정
docker-compose.prod.yml 수정
환경변수 변경 (.env 파일)
포트 매핑 변경
볼륨 마운트 경로 변경
네트워크 설정 변경
볼륨 마운트된 파일 수정
yaml

이런 설정에서 호스트 파일 수정

volumes:

  • ./nginx.conf:/etc/nginx/nginx.conf
  • ./templates:/app/templates
    호스트의 nginx.conf나 templates 폴더 내용을 수정하면 down/up만으로 반영됩니다.

외부 이미지 사용 시
yaml
services:
nginx:
image: nginx:latest # 외부 이미지 사용
build가 필요한 경우
소스 코드 변경
Python 파일 수정 (FastAPI 코드)
Dockerfile 수정
requirements.txt 변경
새로운 패키지 설치
이미지 내부 파일 변경
dockerfile

Dockerfile에서 COPY되는 파일들

COPY ./app /app
COPY requirements.txt .
RUN pip install -r requirements.txt
빌드 시점에 설치되는 요소들
apt 패키지 설치
pip 패키지 설치
이미지 내부 설정 파일 변경
실제 시나리오 예시
down/up으로 충분
bash

nginx 설정 파일 수정

vim nginx.conf

환경변수 변경

vim .env

포트 변경

vim docker-compose.yml

적용

docker-compose down
docker-compose up -d
build 필요
bash

FastAPI 코드 수정

vim app/main.py

새 패키지 추가

echo "requests==2.28.0" >> requirements.txt

Dockerfile 수정

vim Dockerfile

적용

docker-compose down
docker-compose build
docker-compose up -d
판단 기준
핵심 질문: "컨테이너 내부의 파일이 변경되었는가?"

YES → build 필요
NO → down/up만 충분
추가 고려사항:

볼륨 마운트된 파일은 호스트에서 직접 수정되므로 빌드 불필요
이미지 태그가 latest인 경우 docker-compose pull로 최신 이미지 가져올 수 있음
캐시된 레이어가 있어도 코드 변경 시에는 해당 레이어부터 재빌드됨
개발 효율성을 위해 가능한 한 볼륨 마운트를 활용하여 down/up만으로 변경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Nginx의 역할과 기능

  1. Reverse Proxy (리버스 프록시)

  [브라우저] → [Nginx:80] → [FastAPI:8000]

  역할: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FastAPI 서버로 전달
  - FastAPI 서버의 응답을 클라이언트로 전달
  - 내부 서버(FastAPI)를 외부에 직접 노출하지 않음

  설정 예시:
  upstream fastapi {
      server fastapi:8000;  # Docker 컨테이너 이름
  }

  location / {
      proxy_pass http://fastapi;
      proxy_set_header Host $host;
      proxy_set_header X-Real-IP $remote_addr;
  }

  2. Load Balancer (로드 밸런서)

  여러 FastAPI 인스턴스가 있을 때 요청을 분산:

  upstream fastapi {
      server fastapi1:8000;
      server fastapi2:8000;
      server fastapi3:8000;
  }

  3. Static File Server (정적 파일 서버)

  location /static/ {
      alias /usr/share/nginx/html/static/;
      expires 30d;
      add_header Cache-Control "public, immutable";
  }

  효과:
  - CSS, JS, 이미지 파일을 Nginx가 직접 서빙
  - FastAPI 서버 부하 감소
  - 빠른 정적 파일 전달

  4. Security Headers (보안 헤더)

  add_header X-Frame-Options "SAMEORIGIN" always;
  add_header X-Content-Type-Options "nosniff" always;
  add_header X-XSS-Protection "1; mode=block" always;
  add_header Referrer-Policy "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ways;

  보안 기능:
  - XSS 공격 방어
  - 클릭재킹 방어
  - MIME 타입 스니핑 방지

  5. Rate Limiting (속도 제한)

  # 존 정의
  limit_req_zone $binary_remote_addr zone=general:10m rate=10r/s;
  limit_req_zone $binary_remote_addr zone=auth:10m rate=5r/m;

  # 적용
  location ~ ^/(login|signup|logout) {
      limit_req zone=auth burst=2 nodelay;  # 5회/분 제한
  }

  location / {
      limit_req zone=general burst=20 nodelay;  # 10회/초 제한
  }

  효과:
  - DDoS 공격 방어
  - 무차별 로그인 시도 방지
  - 서버 리소스 보호

  6. Compression (압축)

  gzip on;
  gzip_vary on;
  gzip_min_length 1024;
  gzip_types text/plain text/css text/xml text/javascript application/json;

  효과:
  - 네트워크 대역폭 절약
  - 페이지 로딩 속도 향상
  - 사용자 경험 개선

  7. SSL/TLS Termination (SSL 종료)

  server {
      listen 443 ssl http2;
      ssl_certificate /path/to/certificate.pem;
      ssl_certificate_key /path/to/private.key;

      location / {
          proxy_pass http://fastapi;  # 내부는 HTTP 통신
      }
  }

  역할:
  - HTTPS 암호화/복호화 처리
  - FastAPI는 HTTP만 처리하면 됨
  - SSL 인증서 관리

  8. Caching (캐싱)

  location /static/ {
      expires 30d;  # 30일 캐시
  }

  location /api/ {
      proxy_cache my_cache;
      proxy_cache_valid 200 1h;  # 1시간 캐시
  }

  9. Health Check & Failover

  upstream fastapi {
      server fastapi1:8000 max_fails=3 fail_timeout=30s;
      server fastapi2:8000 backup;  # 백업 서버
  }

  내 프로젝트에서의 Nginx 역할

  현재 설정 분석:

  1. 포트 80에서 요청 받음
  2. 정적 파일 (/static/) 직접 서빙
  3. 인증 엔드포인트 특별 관리 (Rate Limiting)
  4. 모든 요청을 FastAPI:8000으로 프록시
  5. 보안 헤더 자동 추가
  6. Gzip 압축 적용

  장점:

  - 성능: 정적 파일을 Nginx가 직접 처리
  - 보안: Rate Limiting, 보안 헤더
  - 확장성: 여러 FastAPI 인스턴스로 확장 가능
  - 운영: 로그 관리, 모니터링

  FastAPI만 사용했을 때와의 차이:

  FastAPI만:
  [브라우저] → [FastAPI:8000]

  Nginx + FastAPI:
  [브라우저] → [Nginx:80] → [FastAPI:8000]

  Nginx가 웹 서버의 역할을, FastAPI가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역할을 각각 담당하여 웹을 통해 보안토큰이 전송될 필요없이 효율적인 구조를 가집니다.

반응형
반응형

Claude Code의 우측 하단에 표시되는 **"Context left until auto-compact: 8%"**는 자동 압축까지 남은 컨텍스트 여유 공간을 나타냅니다.

🔍 정확한 의미 해석

"Context left until auto-compact: 8%"

  • 현재 컨텍스트 사용률: 92% (100% - 8% = 92%)
  • 자동 압축까지 남은 여유: 8%
  • 상태: 곧 자동 압축이 실행될 예정

📊 컨텍스트 상태 단계

 
 
Context left until auto-compact:
100% - 새 세션, 거의 비어있음
50%  - 중간 정도 사용
20%  - 주의 필요
8%   - ⚠️ 현재 상황 - 곧 압축 실행
2%   - 🔴 매우 위험 - 즉시 압축 필요
0%   - 자동 압축 실행됨

⚠️ 현재 8% 상황의 의미

즉시 발생할 수 있는 상황

 
 
✅ 자동 압축 곧 실행됨
⚠️ 응답 속도 약간 느려질 수 있음
⚠️ 일부 이전 컨텍스트 손실 가능
🔴 복잡한 요청 시 오류 가능성

권장 조치사항

 
 
bash
# 즉시 수동 압축 실행 (권장)
claude: /compact

# 또는 현재 상태 저장 후 새 세션
claude: /reset

🛠️ 즉시 해야 할 조치

1. 수동 압축 실행

 
 
bash
claude: /compact

압축 후 예상 결과:

  • Context left until auto-compact: 60-80%로 증가
  • 응답 속도 개선
  • 안정적인 작업 환경 복구

2. 중요한 작업 전 압축

 
 
bash
# 큰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claude: /compact

# 그 다음 작업 시작
"이제 새로운 기능을 구현해보자"

3. 세션 상태 확인

 
 
bash
# 상세 상태 확인
claude: /status

📈 압축 전후 비교

현재 상태 (8% 남음)

컨텍스트 사용률: 92%
━━━━━━━━━━━━━━━━━━━━ ▓▓ (8% 남음)

포함 내용:
- 전체 대화 히스토리
- 모든 파일 변경사항
- 디버깅 로그
- 임시 데이터
- 이전 시도들

압축 후 예상 (70% 남음)

컨텍스트 사용률: 30%
━━━━━━ ░░░░░░░░░░░░░░ (70% 남음)

압축된 내용:
- 핵심 대화만 유지
- 현재 파일 상태
- 중요한 컨텍스트
- 프로젝트 구조

🔧 압축 과정에서 일어나는 일

제거되는 정보

  • 오래된 대화 내용
  • 중간 시도들과 실패한 코드
  • 임시 파일과 테스트 코드
  • 중복된 설명들

보존되는 정보

  • 현재 작업 중인 파일들
  • 최근 중요한 대화
  • 프로젝트 구조와 설정
  • 핵심 컨텍스트 정보

타이밍별 대응 전략

8% 남음 (현재 - 즉시 조치 필요)

 
 
bash
# 지금 바로 실행
claude: /compact

# 압축 완료 후 작업 계속
"압축이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계속 작업해보겠습니다."

20% 남음 (주의 단계)

bash
# 큰 작업 전에 미리 압축
claude: /compact

50% 남음 (안전 단계)

bash
# 정상적인 작업 가능
# 필요시에만 압축 고려

💡 압축 최적화 팁

압축 전 준비사항

bash
# 1. 중요한 파일 내용 확인
"현재 작업 중인 파일들의 상태를 요약해줘"

# 2. 압축 실행
claude: /compact

# 3. 압축 후 상태 확인
"압축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해줘"

압축 후 확인사항

  • Context left 수치가 증가했는지 확인
  • 현재 파일들이 제대로 유지되었는지 확인
  • 프로젝트 구조가 보존되었는지 확인

🚨 응급 상황 대처

0%에 도달한 경우

bash
# 자동 압축이 실행되거나 오류 발생 시
claude: /reset  # 새 세션 시작

# 또는 강제 종료 후 재시작
# Ctrl+C로 종료 → claude 재실행

압축 후에도 문제가 지속되는 경우

bash
# 완전 재시작
claude: /reset

# 새 세션에서 필요한 파일만 다시 로드
"프로젝트 구조를 다시 설정해주세요"

📋 실행할 체크리스트

□ 1. 즉시 /compact 실행
□ 2. 압축 후 Context left 수치 확인 (60%+ 목표)
□ 3. 현재 파일들 상태 확인
□ 4. 프로젝트 구조 보존 여부 확인
□ 5. 정상 작업 가능 여부 테스트

결론: 현재 8%는 매우 위험한 상태입니다. 즉시 /compact 명령어를 실행하여 컨텍스트를 압축하고 안정적인 작업 환경을 확보하세요!

반응형
반응형

현재서비스 구조 확인:

  Browser → nginx (port 80) → FastAPI (port 8000) → Templates (Jinja2)

  📋 현재 서비스 특성:

  1. SSR (Server-Side Rendering): FastAPI + Jinja2 템플릿
  2. Same-Origin: 브라우저 요청과 응답이 모두 같은 도메인 (http://xx.xx.xx.xx)
  3. HTMX 사용: 일부 동적 업데이트만 AJAX

  🎯 CORS가 필요한 경우 vs 불필요한 경우:

  CORS가 필요한 경우:
  - SPA (React, Vue, Angular)에서 다른 도메인 API 호출
  - http://frontend.com → http://api.com 호출

  CORS가 불필요한 경우:
  - SSR 웹앱 (Django, Flask, FastAPI + Templates)
  - Same-Origin 요청: http://00.00.00.00 → http://00.00.00.00

  ✅ 결론: CORS 설정 불필요!

  이유:
  1. Same-Origin 정책: 모든 요청이 http://내주소 에서 시작되어 같은 도메인으로
   전송
  2. SSR 구조: HTML이 서버에서 렌더링되어 브라우저로 전송
  3. HTMX 요청도 Same-Origin: 페이지 내에서 같은 도메인으로 요청

  현재 CORS 설정은 무시됨:
  - nginx가 프록시 역할을 하므로 FastAPI는 nginx로부터만 요청을 받음
  - 브라우저는 nginx와만 통신하므로 CORS 검사 없음

반응형
반응형

📌 YouTube Data API v3 API Key 얻는 방법

  1. Google Cloud Console 접속
    👉 Google Cloud Console 에 로그인 (구글 계정 필요)
  2. 프로젝트 생성
    • 상단 메뉴에서 프로젝트 선택새 프로젝트 만들기
    • 프로젝트 이름과 조직(없으면 개인으로) 설정 후 생성
  3. API 활성화
    • 좌측 메뉴에서 API 및 서비스 → 라이브러리
    • 검색창에 YouTube Data API v3 입력
    • 선택 후 사용 설정(Enable) 클릭
  4. API Key 생성
    • 좌측 메뉴에서 사용자 인증 정보 (Credentials)
    • 사용자 인증 정보 만들기 → API 키
    • 새 API Key가 발급됨 (예: AIzaSy...)
  5. 보안 설정 (중요)
    • 기본 상태에서는 모든 요청을 허용하므로, 도메인 제한 또는 IP 제한을 꼭 걸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 예: 웹 앱에서 쓰면 HTTP referer 제한, 서버에서 쓰면 IP 제한

📌 비용(무료 vs 유료)

  • 무료로 사용 가능합니다.
  • 다만 쿼터 제한이 있습니다:
    • 기본 제공: 하루 10,000 유닛 (무료)
    • 각 요청은 리소스에 따라 1~100 유닛 정도 소모
    • 예: channels.list 요청 = 1 유닛 → 하루 약 10,000번 호출 가능
  • 더 많은 쿼터가 필요하다면 유료로 Google Cloud Billing 연결해서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개인/소규모 프로젝트는 무료 한도로 충분)

📌 정리

  • API Key는 Google Cloud Console → 프로젝트 생성 → YouTube Data API v3 활성화 → Credentials에서 발급
  • 비용: 기본적으로 무료 (10,000 유닛/일), 초과 사용 시 유료
  • 이 API Key를 이용하면 channels.list 요청으로 채널의 썸네일 이미지 URL을 자동으로 얻을 수 있음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