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맥북에서 Claude Code 작업 시 화면이 꺼지거나 잠들 때의 동작과 개발 환경 설정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 화면 꺼짐 vs 슬립 모드

화면만 꺼진 경우:

  • Claude Code 계속 실행됨
  • ✅ 네트워크 연결 유지
  • ✅ 작업 진행 계속됨

맥북이 슬립 모드로 들어간 경우:

  • Claude Code 일시 중단됨
  • ❌ 네트워크 연결 끊김
  • ❌ 작업 진행 중단

⚙️ 개발용 맥북 설정

1. 에너지 절약 설정

시스템 설정 → 배터리 → 전원 어댑터:

 
 
✅ 디스플레이 끄기: 10분 (원하는 시간)
❌ Mac 자동 잠자기 방지: 체크
✅ 전원이 연결되어 있을 때 잠자기 방지: 체크
✅ Wake for network access: 체크

터미널 명령어로 설정:

 
 
bash
# 전원 연결 시 절대 잠들지 않기
sudo pmset -c sleep 0

# 디스플레이만 10분 후 끄기
sudo pmset -c displaysleep 10

# 배터리 사용 시에도 설정 (선택사항)
sudo pmset -b sleep 30
sudo pmset -b displaysleep 5

# 현재 설정 확인
pmset -g

2. Caffeinate 명령어 사용

장시간 작업할 때:

 
 
bash
# 시스템 잠들지 않게 하기 (무제한)
caffeinate

# 특정 시간만 (3600초 = 1시간)
caffeinate -t 3600

# 디스플레이도 안 끄기
caffeinate -d

# Claude Code와 함께 실행
caffeinate claude

3. 터미널 세션 유지

tmux 사용 (권장):

 
 
bash
# tmux 설치
brew install tmux

# 새 세션 시작
tmux new-session -s claude-work

# Claude Code 실행
claude

# 세션에서 분리 (Ctrl+B, 그다음 D)
# 맥북 종료해도 세션 유지됨

# 나중에 다시 연결
tmux attach-session -t claude-work

screen 사용 (대안):

 
 
bash
# screen 세션 시작
screen -S claude-work

# Claude Code 실행
claude

# 분리: Ctrl+A, 그다음 D
# 재연결: screen -r claude-work

🛠 Claude Code 최적 설정

1. 자동 저장 설정

 
 
bash
# Claude Code에서 자동 저장 활성화
claude config set auto-save true

# 작업 상태 자동 저장 간격 설정
claude config set save-interval 60  # 60초마다

2. 알림 설정

 
 
bash
# 작업 완료 시 알림
claude config set notifications true

# 맥 알림 센터 사용
claude config set notification-type system

3. 긴 작업을 위한 설정

 
 
bash
# 타임아웃 시간 늘리기
claude config set timeout 3600  # 1시간

# 자동 재시도 설정
claude config set auto-retry true

📱 개발 환경 완전 설정

1. 기본 도구 설치

 
 
bash
# Homebrew가 없다면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 개발 필수 도구들
brew install tmux tree htop git node

2. 터미널 환경 개선

 
 
bash
# ~/.zshrc 또는 ~/.bash_profile에 추가
echo 'alias ll="ls -la"' >> ~/.zshrc
echo 'alias claude-session="tmux new-session -s claude"' >> ~/.zshrc
echo 'alias claude-resume="tmux attach-session -t claude"' >> ~/.zshrc

# 설정 적용
source ~/.zshrc

3. 작업 공간 설정

 
 
bash
# 개발 전용 디렉토리 생성
mkdir -p ~/Development/claude-projects
cd ~/Development/claude-projects

# 각 프로젝트별 tmux 세션 관리 스크립트
cat > ~/start-claude.sh << 'EOF'
#!/bin/bash
PROJECT_NAME=${1:-default}
tmux new-session -d -s "claude-$PROJECT_NAME"
tmux send-keys -t "claude-$PROJECT_NAME" "cd ~/Development/claude-projects/$PROJECT_NAME" Enter
tmux send-keys -t "claude-$PROJECT_NAME" "claude" Enter
tmux attach-session -t "claude-$PROJECT_NAME"
EOF

chmod +x ~/start-claude.sh

🔔 작업 모니터링

1. 진행 상황 확인

 
 
bash
# 다른 터미널에서 작업 상황 모니터링
watch -n 30 'ps aux | grep claude'

# 네트워크 상태 확인
ping -c 1 api.anthropic.com

2. 로그 확인

 
 
bash
# Claude Code 로그 확인
tail -f ~/.claude/logs/claude.log

# 시스템 로그에서 네트워크 문제 확인
log stream --predicate 'subsystem contains "com.apple.network"'

🚨 비상 계획

1. 작업 복구

 
 
bash
# Claude Code 세션 복구
claude resume

# 이전 작업 상태 확인
claude status
claude history

2. 백업 및 복구

 
 
bash
# 작업 상태 정기 백업
crontab -e
# 매 시간마다 백업: 0 * * * * cp -r ~/.claude/sessions ~/Dropbox/claude-backup/

💡 추천 워크플로우

장시간 작업 시작 전:

 
 
bash
# 1. 전원 연결 확인
# 2. tmux 세션 시작
tmux new-session -s claude-work

# 3. Caffeinate 실행
caffeinate &

# 4. Claude Code 시작
claude

# 5. 작업 시작

작업 중단 시:

 
 
bash
# tmux 세션에서 분리
Ctrl+B, 그다음 D

# 나중에 재연결
tmux attach-session -t claude-work

이렇게 설정하면 맥북 화면이 꺼져도 Claude Code 작업이 안전하게 계속 진행됩니다! 특히 tmux나 screen을 사용하면 맥북을 완전히 종료해도 서버에서 작업이 계속 실행될 수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Flutter 맥북에서 세팅하기

 

flutter mac install 검색해서 Docs 찾아서 해당 페이지 대로 따라하면 됨

그런데 실제로 따라하다보니까 잘 안되는 부분도 있었고 수정내역에 대해 기록남긴다.

  • flutter SDK 설치는 Downlaod & Install 선택해서 애플실리콘용으로 다운받아서 zip을 myusers 폴더에 풀어주고 ~/.zshrc에서 /myusers/flutter/bin 폴더를 패스 걸어줌
  • xcode 설치하는데 맥OS업데이트하라고 해서 버전업 했음
  • install cocoapods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한다. 확인해보니 ruby 버전이 낮아서 안된다는 것이다. 
    • ruby 버전업을 하기 위해
      • brew install rbenv
      • rbenv install -l
      • rbenv install 3.2.9
      • rbenv global 3.2.9
      • ruby -v 해보면 아직 안바뀌어있음 
      • ~/.zshrc 에 맨아래 eval "$(rbenv init - zsh)" 넣어주고 실행하면 바뀌어있음
  • ruby version up 후 cocoapods 정상설치 확인
  • Android Studio 설치한다. 
  • Flutter doctor 해보면 android studio의 cmd-line tool SDK가 설치안되어있다고 설치하라고 한다.
  • 세팅의 아래 메뉴에서 찾아서 설치해줘야함

 

fluttor doctor 로 정상설치 확인완료

fl

반응형
반응형

맥북에어 M1 에서 

USB-c to HDMI 어댑터를 이용해 모니터에 연결

모니터에 스피커가 연결되어있는데

사운드 세팅에서 모니터로 사운드 출력하도록 설정을 해도 소리가 나오지 않는 문제가 있었음

 

케이블은 문제없는 것 확인이 가능했기에 

유일하게 불량 의심할 수 있는 것은 usb-c to HDMI 어댑터.

 

어댑터를 새로 사야하나 하고 알아보는 중 기왕 살 거 좋은걸로 사기 위해 칼디짓 t3 plus 구매

가격대도 저렴하지 않거니와 기기의 만듦새나 손에 만져지는 느낌이 완성도가 높아 이젠 되겠지 했는데

하..... 이것 역시 소리가 모니터에서 출력이 되질 않는다.

 

웹으로 검색을 백방으로 해봤지만 정확한 정보를 찾기 어려웠다가  

어느 레딧 페이지의 답글에서 힌트를 얻었는데 ...

결국은 맥을 재부팅해야하는 것이었음

** 해결방법 ==> 맥북 재부팅

(너무 간단한 해결책이지만 AB테스트를 할 수 없어서 확실한걸로 테스트해보려고 칼디짓까지 샀지만 그래도 안되는 걸 보고 맥북은 원래 안되는건가 했지만 폭풍검색 끝에 해결책을 찾을 수 있었음)

맥북의 의외의 부분에서 참으로 부족함이 있는 걸 봄. 정말 헐이다 헐.

반응형
반응형

1. homebrew 설치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경로설정이 자동으로 되어있지 않으면 아래와 같이 나오는 경우 

zsh: command not found: brew

경로를 수동으로 설정

eval "$( /opt/homebrew/bin/brew shellenv )"

 

2. iTerm2 설치

brew install iterm2

3. oh my zsh 설치

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ohmyzsh/ohmyzsh/master/tools/install.sh)"

4. zsh-autosuggestions 설치

brew install zsh-autosuggestions

 

iTerm2에서 자동완성 미리보기 기능을 설정하려면,
먼저 zsh 쉘과 ohmyzsh, zsh-autosuggestions 플러그인을 설치해야 합니다.
Zsh 쉘 사용자는 brew install zsh-autosuggestions 명령으로 플러그인을 설치한 후,
vi ~/.zshrc 파일을 열어 plugins 목록에
zsh-autosuggestions를 추가하고,
터미널을 다시 시작하거나 source ~/.zshrc를 실행하면 됩니다.

  1. iTerm2 및 zsh 쉘 확인
    먼저 iTerm2를 설치하고 zsh 쉘을 기본 쉘로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Zsh 쉘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brew install zsh로 설치하고, chsh -s /bin/zsh 명령으로 zsh를 기본 쉘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2. zsh-autosuggestions 플러그인 설치
    Homebrew가 설치되어 있다면 다음 명령어로 zsh-autosuggestions 플러그인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코드
  3. brew install zsh-autosuggestions
  4. zshrc 파일 수정
    ~/.zshrc 파일을 텍스트 편집기로 엽니다 (예: vi ~/.zshrc 또는 nano ~/.zshrc).
    파일 내에서 plugins=( ... ) 부분을 찾아 다음과 같이 zsh-autosuggestions를 추가합니다.
    코드
  5. plugins=(git zsh-autosuggestions)
    파일을 저장하고 닫습니다.
  6. 터미널 새로고침
    변경 사항을 적용하려면 터미널을 다시 시작하거나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현재 쉘에 적용합니다.
    코드
  7. source ~/.zshrc

이제 iTerm2에서 명령어를 입력하면 이전에 실행했던 명령어 기록을 바탕으로 자동완성 미리보기가 나타날 것입니다.

## 주의##

이렇게 했는데 plugins (zsh-autosuggestions) 부분에 오류가 나고 안됨

그냥 쉽게 해결하자 싶어서

.zshrc 파일에서 직접 source 추가해줬음

plugins 아래부분에 직접 source /opt/homebrew/share/zsh-autosuggestions/zsh-autosuggestions.zsh 추가해줌

source ~/.zshrc 실행후 정상 작동 확인

 

5. 테마 설정

국룰 테마 설치

git clone https://github.com/romkatv/powerlevel10k.git $ZSH/themes/powerlevel10k

.zshrc 에서 테마 부분 수정 후 다시 로딩

ZSH_THEME="powerlevel10k/powerlevel10k"

하고나면 모 복잡한거 계속 물어보는데 원하는 스타일로 답변해주면됨

6. D2Coding 폰트 설정

https://github.com/naver/d2codingfont 에서 최신버전 받아서 D2CodingAll 클릭해서 설치

iterm2 에서 설정 Settings>Profile>Text 하단의 Font 에서 설치한 D2Coding 선택

7. Syntax Highlighting

brew install zsh-syntax-highlighting
vi ~/.zshrc

#.zshrc 파일 하단에 아래 추가
source /opt/homebrew/share/zsh-syntax-highlighting/zsh-syntax-highlighting.zsh

8. Status Bar 세팅

참고로

윈도우에도 환경세팅을 해야 해서 내용 좀 추가함

WSL 로 ubuntu 설치하고 기본 bash를 MAC 과 같은 zsh 로 

sudo apt-get install -y zsh

chsh -s /usr/bin/zsh

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robbyrussell/oh-my-zsh/master/tools/install.sh)"

테마는 agnoster로 변경후

cd ~/.oh-my-zsh/plugins

git clone https://github.com/zsh-users/zsh-autosuggestions.git
git clone https://github.com/zsh-users/zsh-syntax-highlighting.git

echo "source ${(q-)PWD}/zsh-autosuggestions/zsh-autosuggestions.zsh" >> ${ZDOTDIR:-$HOME}/.zshrc

echo "source ${(q-)PWD}/zsh-syntax-highlighting/zsh-syntax-highlighting.zsh" >> ${ZDOTDIR:-$HOME}/.zshrc

vi ~/.zshrc
plugins=(git zsh-autosuggestings zsh-syntax-highlighting)

 

 

반응형
반응형

키보드에서 한/영 전환키 어디가 좋을까? 생각을 해봤다

 

키보드를 여럿 사용하다가 키보드 HI(human interface)에 대해서 생각해볼만한 내용이 있어 잠시 적어본다.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Caps Lock 자리가 아주 혈맥같은 중요한 위치라는 점이다.

왜 이 중요한 위치에 예전에는 Caps Lock이 위치하게 되었을까?

정확히는 알기 어렵지만 MS에서 그 자리로 정한게 지금의 컨벤션 처럼 된 것은 아닐까 추측해본다.

 

한 번 생각을 해보자.

Caps Lock으로 실제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문단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치기 위한거라면 거의 Shift키를 누르고 타이핑 할 것이다.

아마도 전체글자를 모두 대문자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만 Caps lock을 사용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런 특수한 경우라면 폰처럼 S/W에서 대문자만 나오도록 하거나 

키보드에 꼭 위치시키고 싶다면 잘 안쓰이는 오른쪽 구석에 자리잡아도 되지 않을까?

그런데 정말 중요한 위치라고 생각되는 현재의 Caps Lock자리에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생각이다.

 

실제로 이 자리를 고민했던 키보드를 두 종류 알고 있다.

하나는 HHKB 키보드 (해피해킹)

그리고 다른 하나는 애플 맥의 키보드이다.

해피해킹 키보드는 유닉스시스템에서 많이 사용하는 스타일이어서 Caps Lock자리가 Control키이다.

실제로 사용을 해보면 이게 엄청 편하다.

 

프로그래밍을 많이 했던 과거에 키보드에서 단축키를 많이 사용해서 그랬는지

단축키 누르기 위해 왼손 새끼손가락은 아래로 내리려면 손목에 꽤 힘을 주어야만 가능하다.

이게 늘 써서 모를 수 있지만 막상 해보면 상당히 불편한 각도다.

아마 포토샵이나 영상 등등 컴퓨터로 작업을 하는 사람들은 거의 겪고 있는 문제일 것 같다.

단축키를 사용하는데 왜 손목이랑 손가락 힘이 많이 들어가는지

Caps Lock을 control로 사용해 보면 손이 상당히 편하다. 그래서 컴퓨터 타이핑을 많이 하던 시절에 10년간 해피해킹 키보드를 사용했던 경험이 있다.

물론 그 때문에 HHKB 키보드가 작고 예뻐서 사용했는데 그 레이아웃에 익숙해진거라 앞뒤 순서는 달랐기는 하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