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삼성 노트북에 Windows 10 업그레이드 후 장치관리자를 확인해보니 

장치드라이버가 하나도 설치가 안되어있는겁니다. 그래서 드라이버를 설치했던 과정을 기록으로 남깁니다.

삼성노트북 Windows 를 재설치 하신 분이시라면 하나하나 따라가면서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장치관리자에 거의 대부분의 장치에 Yello band 가 떠있습니다. 이정도 상황이면 거의 맨붕이죠 ㅎ

맨 먼저 삼성홈페이지에 들어가봅니다.

다운로드 센터 링크입니다.

https://www.samsungsvc.co.kr/online/downLoadMain.do

 

홈페이지 < 삼성전자서비스

서비스센터 위치정보, 서비스 신청, 서비스 이력, 전화상담 예약, 제품문의, 채팅상담, 동영상 가이드 등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www.samsungsvc.co.kr

자신의 노트북 모델명을 입력하면 매뉴얼과 Samsung Update라는 이름으로 S/W업데이트를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노트북 모델명을 입력하면 나타나는 화면입니다

왼쪽것을 다운로드 받으면,

1. 기존의 방식으로 압축파일로 된 최신 드라이버, 펌웨어, 응용프로그램등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습니다. (Windows 7 이후 가능합니다. Windows 10 에서도 사용가능하겠죠)

오른쪽 것을 다운로드 받으면 요즘 나오는 방식으로 Windows Store App 에서 업데이트 하는 방식입니다.

최근에 나오는 방식인 Windows Store App에서 업데이트 하는 방식을 시도해 보겠습니다.

Microsoft Store 에서 Samsung Update를 설치한 후 실행을 해줍니다.

(이 때 저는 Windows 가 최신으로 Update가 되어있지 았았더니, 최신 OS Update 해야 Samsung Update를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하다고 나옵니다, 그래서 Windows S/W Update를 해줬습니다. 2019년 11월에 나온  Windows 10, 버전 1909를 반드시 설치 해주어야 합니다.) 

최신 Windows 10 버전으로 업데이트 한 후

필요하다는 패키지들을 설치해 줍니다.

Windows App Store에서 Samsung Update가 설치되고 실행하면

필요한 장치드라이버 및 펌웨어를 자동으로 설치해줍니다.

여기까지 설치하고 나면 

끝...

 

이제 삼성노트북을 잘~ 사용하면 됩니다.

새로운 장치드라이버 업데이트 방식이 있어서 설명해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전의 삼성노트북 NT950QCT 플렉스 버전 사용기를 못보셨다면 아래 링크로 들어가면 볼 수 있습니다.

[Tech & IT/IT, 모바일] - 삼성노트북 NT950QCT 개봉기

 

반응형
반응형

 

Windows 10 설치용 USB를 만드는 방법.

윈도우 설치를 위해서 예전에는 CD나 DVD를 이용해서 설치를 했었는데

지금은 노트북에 CD가 들어가는 노트북이 거의 없죠. CD는 이제 구세대의 유물이 되었습니다

이제 USB 드라이브를 이용해서 설치를 하는 방법이 보편적입니다.

그러면 윈도우 설치를 위해 USB에 Windows 10 설치파일을 복사해야 하는데,

그냥 윈도우탐색기에서 이미지 파일을 USB에 복사한다고 설치가 가능 한 것이 아닙니다.

윈도우 설치를 위해 USB에 부트로더를 탑재해서 부팅가능한 USB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러면

iso파일의 형태로 이미 가지고 있는 윈도우10 이미지를

부팅가능한 윈도우 설치용 USB 로 만드는 방법을 설명해보겠습니다.

(참고로, MS 홈페이지에서 Windows 10을 다운로드를 받게 되면 Windows 10 설치프로그램이 실행하며 현재 PC에 설치할 지 USB등 디스크에 저장할지를 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USB디스크를 선택하면 윈도우 설치용 USB를 만들 수 있습니다.)

준비물:  
1. 8G 이상 USB  
2. Windows 10 iso 파일 (이미지 파일)
3. Rufus 3.10 프로그램 (부팅디스크 USB 만들어주는 프로그램)

Rufus 프로그램은 간편하게 부팅디스크 USB 만드는 프로그램입니다.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https://rufus.ie/

Rufus 홈페이지의 설명입니다. 가볍지만 장점이 많은 프로그램입니다.

 

화면 조금 아래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링크가 있습니다.

불과 이틀 전에 업데이트된 버전이 있군요

저는 별도의 설치가 필요하지 않은 포터블 버전으로 다운로드 받아 사용했습니다.

실행권한만 '예'를 누르면 설치과정 없이 바로 실행이 됩니다.

1. USB를 꼽으면 자동으로 '장치' 항목에 USB디스크 드라이브가 선택이 됩니다. 

   USB는 다 제거 한 후 설치를 원하는 USB드라이브 한개만 꼽으시길 권장합니다.
   USB의 기존 자료는 싹 다 지워지기 때문에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2. 선택 버튼을 눌러 윈도이미지 iso파일을 선택해 줍니다.

 선택한 이미지파일이 윈도우 설치용 iso파일이라면 이미지 옵션에 '표준 Windows 설치'가 자동으로 선택이 됩니다.

 그리고 파티션 방식, 대상시스템 등 다른 옵션 역시 자동으로 선택되기 때문에 아무것도 설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3. 시작 버튼을 누릅니다. 

잠시 기다리면

USB에 이미지가 복사되고

부팅가능한 윈도우 설치용 USB가 완성됩니다.

끝...

 

이제 컴퓨터를 끄고 켤 때 부팅이 되는지 확인을 해 보겠습니다.

 

컴퓨터 시작 로고가 뜨면 F2버튼을 누르면 BIOS setup 화면으로 들어갑니다.

여기에서 boot sequence를 선택해주는 메뉴에서

USB 드라이브를 SSD디스크나 HDD디스크 보다 우선순위로 위치시켜줍니다.

그리고 Save하고 exit 해주면 설정은 완료입니다.

다음 번 부팅 때 USB디스크로 먼저 부팅이 되어서 윈도우 설치모드로 들어가게 됩니다.

이렇게 설치를 쭉 진행해 주시면 진짜 완성...

인줄 알았는데

Windows 10 이미지의 버전이 2016년 것이다 보니 장치드라이버가 자동으로 인식되질 않네요.ㅠㅠ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방식이 예전과 많이 달라졌습니다.

드라이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 담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아래 링크에 Samsung Update를 통한 드라이버 업데이트 하는 방법을 포스팅했습니다.

[Tech & IT/컴퓨터활용 Tips] - 삼성 노트북 윈도우 windows 10 재설치 후 드라이버 업데이트 하는 방법 (feat. Samsung Update)

반응형
반응형

최신형 따끈따끈한 삼성노트북 플렉스 개봉기입니다.

지인의 노트북을 골라주게 되었는데 지인이 사용할 때 어떤게 적당할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지인이 컴퓨터를 그리 많이 활용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필요한 기능들을 물어 본 후 저사양의 제품을 고를까? 생각을 하다, 곧 생각을 바꾸게 됩니다.

컴퓨터의 성능을 다 활용하지 못하더라도 일정 수준 이상인 노트북을 사용했을 때의 만족감을 떠올렸기 때문입니다.

고성능 노트북을 사용했을 때 만족감은 저사양 노트북과의 가격차이 이상이라는 생각에 간단한 기준을 세웁니다.

CPU만 정해놓고 고르자는 생각입니다.

인텔에서 가장 최근에 나온 세대의 i5 라는 기준을 세웁니다. 화면은 15인치를 원했기에 그에 맞추고, RAM, SSD등 나머지는 최소화 해도 괜찮겠다는 생각을 하고 고르니 NT950QCT-a58a를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잠깐 삼성 노트북의 모델명에 대해 이야기 해봅니다.

이름에 대한 건 거의 추측입니다.^^ 그런데 거의 맞는 것 같죠? ㅎㅎ

 NT(노트북 같죠? ㅎ)
 NT9 (19년도 노트북?? 맞나요?)
 NT950(15인치의 5 같은데요)

 QCT( 갤럭시북 플렉스 모델에 붙는 것 같습니다)
 a5(는 i5 CPU 탑재같고요)
 8a(RAM이 8GB인듯, 16a가 RAM 16GB이니까요 )

 

 NT950QCT 갤럭시북 플렉스 스펙

 화면 :  15인치, 터치디스플레이, 터치펜,  FHD디스플레이 (1920x1080) , LCD 뒤로 접힘
 CPU : i5 10세대 아이스레이크,
 RAM : 8GB,  SSD : 256GB

 

주문한 노트북이 도착했습니다.

박스를 받아본 순간 와~ 예쁘다. 애플같다 ㅎㅎㅎ 이런 느낌이었습니다.

사실 제 마음속 로망은 늘 애플입니다. 하지만 현실적인 대안으로 삼성이 항상 고려대상이죠. 이번에는 삼성이 이겼네요.

 

 

애플을 사고 처음 제품 케이스를 벗길 때의 그 경건한 마음과 비슷합니다.

기대되는 마음으로 케이스를 열어봅니다. 

 

 

깔끔하게 포장되어있는 노트북이 보입니다.

노트북 부속품들도 심플합니다. 

 

 

 

노트북을 꺼내고 보니 재질이 메탈재질, 이것은 흡사 맥북프로의 그것과 같았습니다.

마감도 아주 깔끔하고 모서리의 각이 살아있는 게 엣지있는 스타일 그 자체입니다.

엣지있다~ ㅎㅎ 진짜 멋집니다.

이런 노트북 나도 한 번 써보고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나는 단지 메신저일 뿐 받아서 세팅을 확인해 본 후 주인에게 전달해줘야 합니다.

진짜 디자인 잘나왔습니다. 아래로 쭉 보시겠습니다. 예쁜 노트북의 모습 

뽐뿌받으시고 좋은 노트북 사세요~ ㅎㅎ

 

FLEX모델은 pen-s모델과 동일하게 펜을 내장하고 있습니다.
내장 스피커가 AKG이군요. 하만카돈그룹 인수 후 삼성의 사운드에 간지가 묻어납니다.

 

 

 

SAMSUNG 크롬 로고, 이쯤 되니까 애플안부럽다 ㅋㅋㅋ 
금속의 차가운 느낌이 엣지있는 느낌이다
FLEX모델은 이렇게 뒤로 뒤집힌다. 태블릿 모드로 사용가능
지문인식 센서
LINUX모델로 선택해서 Windows는 깔려있지 않다.
엑세서리, HDMI젠더와 USB젠더 노트북에 모두 USB-C타입이어서 기존 주변기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가 없다.

 

기존 주변기기를 젠더를 이용해서 사용하려 하는 것 보다는

새로운 노트북이니만큼 모든 주변기기를 무선으로 사용하는게 트렌드에 맞춰가는거란 생각이다.

 

윈도우를 사용하기 위해서 윈도우를 설치해봅니다.

윈도우 설치용 USB 디스크를 만든 후

설치를 하고 각종 장치 드라이버들을 잡아주면 됩니다.

장치 드라이버를 잡는 게 좀 어려웠습니다. 

이 부분은 따로 포스팅으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노트북은 역시 새거가 좋군요 ㅎㅎ

새 노트북 사고싶다.~~~ 

 

◆ 추가 내용:

노트북에 Windows 10을 설치하기 위해 설치용USB를 만드는 방법을 아래 포스팅에 작성해두었으니 필요하신 분은 링크를 클릭하시면 볼 수 있습니다다. 

[Tech & IT/컴퓨터활용 Tips] - Windows 10 윈도우 설치용 USB 만들기

반응형
반응형

키네마스터로 영상 편집을 하고있는데 아쉬운 내용이 있어서 포스팅합니다.

스마트폰 화면이 작아 화면이 큰 갤럭시탭을 사용해 편집을 하려 했습니다.

갤럭시탭은 내장메모리 용량이 부족해서 외장USB, 외장 SSD에 저장되어있는 미디어를 불러오려고 했습니다.

 

갤럭시탭에 키네마스터 앱을 설치하고, 외장드라이브에 동영상 파일을 넣은 후 갤럭시 탭에 연결했습니다.

키네마스터를 열고 미디어를 불러오려 했는데

미디어를 찾을 수가 없네요, 옵션을 다 둘러봐도 미디어 폴더를 설정하는 부분이 없습니다.

보통의 왠만한 어플들에서 브라우저에 확장이 가능해서 미디어 폴더를 원하는 곳에서 가져올 수가 있는데

키네마스터처럼 대형 스타트업에서 만든 앱에서 이 기능이 없다는 사실을 알고 너무 놀랐네요.

 

구글링을 해보는 데 이런 내용으로 검색이 잘 되질 않습니다.

한글로는 자료가 없어서 영어로도 검색을 해봤습니다

kinemaster import external usb media 이렇게 해도 내용이 나오는 게 없길래 

키네마스터 포럼에도 들어가 뒤졌는데 비슷한 질문이 있네요

관리자의 답변이 unfortunately 로 시작하네요, 앞으로 구현할 계획이 있다고 하니 기대해 봅니다.

작년 4월의 답변이었는데 11개월이 지난 지금까지도 아직 구현이 안된 것 같습니다.

아쉽다.

아쉬워.

구글링 하다가 한 가지 재미있는 걸 알게 되었는데

제작한 영상을 sd-card로 내보내기 강좌 같은게 유튜브에 있는겁니다.

그래서 어~ 잘하면 힌트가 될 수 있겠다 해서 살펴보니

찾은 모든 방법이 다 자동 파일이동하기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kinemaster export 폴더의 파일을 특정폴더로 이동시키는  프로그램을 사용한 내용들이 전부네요.

참 아쉽다 아쉬워~~

 

그런데 글을 작성하면서 알게된 사실 sdcard 는 되는구나 올~ ㅎㅎ

sdcard 는 미디어 불러오기 가능
외장 USB드라이브는 미디어 불러오기 불가능

 

키네마스터 담당자님께 부탁드립니다~

미디어 폴더 선택 확장 가능하도록 좀 해주세요~ 제발요~

 

반응형
반응형

현재 삼성 갤럭시 s10 5g를 사용중입니다
삼성 갤럭시 s10 5g의 경우 화면 상단 우측에 전면카메라가 두개가 나란히 위치하고 있습니다.
알림바에 로고나 아이콘이 표시되는 공간을 거의 1/4정도나 차지하고 있죠.

아래 이미지와 같은 형태로 말입니다.

 

또한 늘 기본으로 있는 아이콘들도 여럿 있습니다.
예를 들어 통신사이름, 시계, 통신망종류, 안테나, 배터리 등이 있죠
그런 이유로 상단 알림바에 빈 공간이 얼마 없습니다.

 

예전에는 상단에 현재 미확인 메시지의 종류들을 상단 알림바만 보고도 파악 할 수가 있었는데
알림바의 공간이 협소하니 아이콘이 꽉차게 되면 그냥 여러개 있다는 의미로 쩜(.)으로만 표시가 되어버립니다.

 

 

알림바만 봐서는 무언가 있는데 이게 뭔지 알 수가 없습니다.

안읽은 카톡메시지인지, 다른 메신저 메시지가 있는지, 문자가 와있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알림을 손으로 내려서 펼쳐야지만 그 내용을 알 수가 있습니다.

 

저는 이 점이 매우 불편했습니다.

 

그래서 상단 알림바의 아이콘을 조정을 하고싶었습니다.
2010년대 초반인가 그 때 기억을 더듬어보면 그 때는 루팅툴을 이용해서 conf파일 설정 등을 직접 조작해서 이런 UI세팅 등을 입맛에 맞게 수정하는 것들이 유행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방법을 찾아보다가 알게되었습니다.

삼성에서 공식으로 배포하는 트윅툴(사용자 정의 UI수정 툴)이 있다는 것을
다행입니다. 폰을 루팅하고싶진 않았거든요.

자 그러면
삼성에서 배포하고 관리하는 Good Lock 앱을 소개해드립니다.

 

아쉽게도 구글 플레이스토어에는 같은 이름의 다른 Good Lock 앱이 이미 있습니다.

그래서 반드시 갤럭시 스토어에서 다운로드를 받아야 합니다.

다운로드 받을 때 어플 제작 회사 이름이 삼성인 점을 꼭 확인하고 받으세요.

 

왼쪽 그림은 갤럭시스토어에서 Good Lock 검색했을 때 나오는 앱입니다. (OK, 이 앱입니다),

오른쪽 그림은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Good Lock 검색했을 때 나오는 앱입니다.(X, 이 앱은 아닙니다), 


이름 자체가 good 과 lock이라는 흔한 일반명사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미 구글 스토어에 다른 어플이 있다는 점이 아쉽네요.

이걸 삼성에서 몰랐을까 하는 생각도 들긴 합니다.

어쩌면 일부러 이 툴의 존재를 널리 알리고 싶지 않았던건 아닐까 하는 추측도 해봅니다.

그렇지 않고서야 이 이름으로 꼭 지었어야 할 이유가 있을까 떠오르질 않는군요.

개인적으로는 아쉽습니다.

 

Good Lock 앱을 실행하면 아래 처럼 실행이 됩니다.

Redesign your Galaxy 라는 문구가 인상적이네요 

 

 

Good Lock 앱 실행 후 아이콘을 바꾸기 위해서는 추가로 앱 설치를 해줘야 합니다.

지금 하려고 하는 상단 알림바 아이콘을 바꾸기 위해

QuickStar를 클릭해서 해당 어플을 설치해줍니다.

 

왜 구지 이렇게 어플을 나눴을까요? 솔찍히 이해할 수 없는 앱 정책입니다.

만약, 폰 기종마다 설정이 달라 어플이 달라져야 해서 그렇게 폰기종인식 후 다른 어플을 설치해주기 위해서라면 모를까 지금과 같은 세팅이라면 어플을 나눠놓아야 할 이유가 구지 없는데 말입니다.

 

어쩔 수 없죠 설치를 해줍니다. 어렵지 않아요 ^^

설치를 해주고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사용으로 해줍니다.

 

인디케이터 아이콘 표시 메뉴로 들어갑니다.

세팅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그냥 설정에 들어가서 옵션을 넣고 빼고 하는 것과 동일합니다. 

원하는 아이콘을 선택 or 해제만 하면 됩니다.

여기에서 처음에는 다 사용되어있을겁니다. 

이 중 필요 없는 아이콘들을 사용 해제시키면 됩니다.

제 경우는 아래와 같이 거의 다 해제를 시켰습니다.

SKT마크 안봐도 되니 해제, 신호세기는 사실 관심이 없으니 해제,  IMS 네트워크 아이콘도 해제, 알람아이콘도 해제, 음량아이콘도 해제, 아래로 내려가면 좀 더 있습니다.

Wifi, 블루투스 는 고민하다가 연결될 때 알아야 하기에 살려놨습니다.

 

이만큼만 해놔도 상단 알림바가 공간이 좀 생겼죠?

아이콘 쩜(.)으로만 표시되던 것들이 쭉 나열이 되죠

카톡이 와도 카톡이 왔는지, 메시지가 왔을 때 메시지가 온 것인지 아이콘으로 바로 알 수가 있게 되었습니다.

이게 작은 것 같아도 제게는 은근히 크게 느껴졌습니다.

아이콘으로 확인하는 습관이 이미 오랫동안 들어져 있는데 아이콘 표시가 안된다니 용납할 수 없죠

그래서 Good Lock 어플을 이용해서 바꿔봤습니다.

 

굿입니다~

 

참고로 위에 MultiStar라는 어플도 꽤 좋습니다.

제 경우는 헬스할 때 운동하는 모습을 카메라로 찍으면서 

세트 중간중간에 휴식시간을 지키면서 해야 하는데

이 때 스탑와치를 멀티윈도우로 띄워놓고 있으면 은근 편하더라고요

이런 기능도 있으니 다양하게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이 기능은 다음에 한 번 다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VR기기에 관심이 생겨 기어VR을 샀는데...

써보니 생각보다 어!! 괜찮네 하는 느낌, 그냥 조금 신기하겠지 정도로 예상햇는데 생각보다 현장감이 생생하게 느껴지는 컨텐츠들도 있어서 내심 놀랐다.

 

그런데....

기어VR로는 좀 아쉬움이 느껴졌다.

 

몇 년 전에 알게되어 나도 언젠간 사고싶다는 로망이었던 오큘러스 리프트를 한 번 알아봤다.

요즘 시세는 어떻고 사람들 평은 어떻지 하고 알아보는데

오큘러스 고(Go)라는 제품이 있는 것이다.

생각보다 가격도 저렴했다.

그래서 구매하게 되었다.  겟완료

 

스마트폰을 VR기기앞에 대서 사용하는 기어VR에서는 주변부 초점이 좀 흐려지는게 거슬렸었다.

하지만 오큘러스 고(Go)에서는 주변부까지도 꽤 깔끔하게 나온다.

 

역시 디스플레이 장착제품이 좋긴 좋구나 하며 몇 번 사용했다.

 

몇 번 사용을 해보고는 다시 박스에 넣어놨는데...

어찌어찌 하다보니 한 3달 가까이를 사용을 하지 않게되었다.

 

이정도면 모 팔아야지...

 

그런데 판매해야하는데

 

공장초기화를 어떻게 해야하지?

 

1. 제품이 꺼진 상태에서 전원버튼 과 볼륨Down 을 동시에 누른다.

  그러면 아래와같이 USB Update Mode가 나온다.

 

2. Factory Reset 선택

   볼륨 Up(+) Down(-) 버튼으로 위아래로 선택할 수 있다. 

   Down(-) 버튼으로 두칸 내려서 Factory Reset 을 선택한다.

   선택은 Power버튼을 눌러서 한다.   

3. Yes 선택

   볼륨 버튼으로 Yes를 선택한다

Erasing이라는 글자가 나오고 잠시 기다리면 아래와 같이 초기화된 오큘러스 고(Go)를 보게된다

현장감있는 사진 오큘러스에 갖다대고 사진을 찍었다.

 

이젠 안녕~

즐거웠다~재밌었다~

 

 

 

반응형
반응형

프린터 무선 네트워크 세팅을 하려고 하는데 쉽지 않네요.

PC와 프린터를 USB케이블로 일단은 연결해준 다음 세팅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SK에서 대여해주는 무선공유기를 사용중인데 이 공유기는 WPS버튼이 없는 모델입니다.

WPS버튼이 없는 무선공유기 사용자라면 SSID를 수동으로 입력 한 후 보안 설정을 해야 합니다.

 

SSID가 뭐지? ㅠㅠ

 

결론부터 말씀드립니다.

SSID란? WIFI 공유기 검색할 때 나오는 SK_WiFiXXXXX로 시작하는 명칭, 이름입니다. 

 

이건 줄 모르고 한참을 헤맸습니다.

용어를 몰르면 어떻게 되는지, 지금이 아닌 멍청했던 과거로 잠시 돌아가 보겠습니다.

진짜 진짜 어렵게 SSID를 알아내는 방법을 보여드리겠습니다.

 

1. 현재 WIFI공유기 관리페이지에 접속을 위해 IP를 알아야 합니다.

방법은 휴대폰 FING 어플을 이용합니다.

FING 어플에서 현재 접속중인 WIFI 정보 뿐 아니라 여기에 접속해 있는 주변기기 정보를 모두 얻어올 수 있습니다.

이 중 공유기 아이콘에 해당하는 IP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 공유기는 192.168.35.1 입니다. 

스마트폰에서 FING 어플 실행 화면

2. 공유기 IP를 알았으니 이제 접속을 해봅니다.

웹브라우저에 IP를 쳐서 들어갑니다. 

http://192.168.35.1

그러면 아래와 같이 공유기 접속 화면이 나옵니다.

SK용 공유기의 접속

 

3. 로그인을 하면 상세 설정을 볼 수 있습니다.

확인을 해 보니 SSID가 다른 특별한 게 아니라

WIFI접속할 때 사용했던 이름이었네요

이걸 모르고 이렇게 돌아 돌아 알게 되었네요

 

WIFI공유기의 상세설정 페이지

 

좀 웃기죠ㅠㅠ

SSID가 뭔지 알기 위해 돌아돌아왔습니다.

그냥 휴대폰으로 WIFI켜서 접속 가능한 WIFI찾으면 이름이 뜨는건데 말입니다.

그냥 이렇게 말입니다.

저처럼 고생하지 마시고 그냥 이렇게 바로 찾으시면 된다고 알려드리려고 이렇게 포스팅을 남깁니다.

시간절약 하세요~

스마트폰의 WIFI 설정

끝.

반응형
반응형

최근 스킨을 FastBoot 1.6.2로 바꾸고 나서 이런 저런 디자인도 변경하고 제 입맛에 맞도록 바꿔주며 재미를 느끼고 있습니다.


보통의 글에는 댓글이 거의 달리지 않기에 잘 모르고 넘겼었는데 갑자기 댓글이 달리니 댓글개수 표시하는 부분의 색깔도 바꾸고 싶어지네요.


그래서 소스 뒤적이며 찾아보았고 그 방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사설을 잠시 풀자면

네이버 블로그 시스템에서 이웃의 역할은 참 중요한 것 같은데 티스토리 블로그는 이웃의 개념이 없거나 약한 것 같습니다.

네이버 블로그에서는 블로그 방문자수를 늘리기 위해 제일 처음에 하는 일이 서로이웃 맺고 서로 품앗이를 많이 하죠.

티스토리는 이런 개념이 좀 약하다 보니 주로 검색노출에 의존을 많이 합니다.


제 블로그의 경우도 방문자 유입 분석을 해보면 

거의 대부분의 방문자가 검색엔진(네이버,다음,구글 등)에서 검색으로 유입이 되고 있습니다.

블로그를 하며 소통하는 즐거움도 있겠지만,

그 보다는 양질의 컨텐츠를 포스팅해서 검색을 통해 블로그 유입을 추구하는 게 티스토리 블로그라는 생각입니다.


이런 상황이다 보니 제 블로그에도 댓글은 거의 없는 게 익숙했습니다.

그런데 티스토리 초대장 묵혀놨었던 것을 보내드린다는 글을 포스팅했더니 갑자기 댓글이 많이 달리더군요.

이렇게 댓글이 빠르게 달릴 것은 전혀 예상 못했는데 어느 링크를 타고 들어왔는지 벌써 댓글이 30개 가까이나 됩니다.

그래서 그 댓글 개수 표시해주는 빨간색을 보니 제 감각에는 좀 모노톤으로 꾸미고 싶어지더군요. 


그래서 바꿔봤습니다. 


두 둥~

 


1. 카테고리 글목록 댓글 개수 색깔 변경


지금 댓글이 달리면 글목록 및 최근포스팅에 아래 캡쳐사진과 같이 표시가 됩니다.

저는 좀 더 모노톤으로 꾸미고 싶어서 수정을 합니다.



글목록에 댓글 33이라고 적힌 부분의 색을 변경을 위해서는 Fastboot 1.6.2 스킨업로드했던 소스를 수정해야 합니다.

HTML/CSS 에 해당 부분이 따로 빠져있질 않네요.


스킨 소스의 아래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주세요

FastBoot 1.6.2/image/fastboot.css


.label-danger{background-color:#da4453;border-color:#da4453}

해당 색깔코드 부분을 바꿔줍니다.

저는 적당한 회색톤으로 바꿔주었습니다. 

동그라미 테두리는 찐한회색, 안쪽 채우기는 좀 덜찐한회색입니다.


.label-danger{background-color:#777777;border-color:#444444}

수정 후 



관리자메뉴>스킨 편집>HTML편집>파일업로드를 통해 image/fastboot.css파일을 업로드 한 후 저장을 해줍니다.


아래와 같이 모노톤으로 바뀐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2. 최근 포스팅 목록의 댓글 개수 색상 변경



이번에는 CSS수정으로 가능합니다.

관리자메뉴>스킨 편집>HTML편집>CSS 에 들어갑니다.


#recentPost 로 검색을 합니다.



윗부분 중 음영이 있는 부분의 코드를 아래와 같이 바꿔줍니다. 빨간색인 #da4453을 모노톤으로 바꿔주는 색상코드입니다. 

  background-color: #777777;

  border-color: #444444;

수정 후 저장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변경된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블로그 카테고리에 티스토리 스킨 FastBoot 1.6.2 입맛에 맞게 수정하는 방법을 다룬 글이 더 있으니 

참고하셔서 블로그 예쁘게 꾸미시기 바랍니다~


포스팅을 마칩니다.



반응형
반응형

티스토리 블로그에 스킨 FastBoot 1.6.2를 적용해서 만족하며 쓰고 있습니다.


원작자 Readiz님의 블로그에 스킨을 입맛에 맞게 수정하는 방법들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고, 많은 FastBoot 스킨 사용자들 또한 스킨 바꾸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어 조금만 검색해도 이런 저런 불편한 점을 개선할 수 있었습니다.


바꾸고 싶은 부분이 있는데 검색해도 나오지 않는 부분은 또 나름의 노하우를 동원해서 수정을 해보고 있습니다.


지난 번에 수정한 Category목록 보기나 전체글보기 할 때 목록 표시될 때의 불편한 점을 수정했었습니다.

비슷한 불편함을 겪는 분이시라면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Tech & IT/블로그 관리] - 티스토리 FastBoot 목록표시방법 변경 및 갤러리형 잔상없애기

http://happycode.tistory.com/472




이번에는 글목록 의 글자색이 하늘색인 것을 검정으로 바꾸고 싶어 한 번 찾아봤습니다.


제 블로그를 보면 아래처럼 제목이 하늘색으로 나옵니다.



이 하늘색 제목이 마음에 안들어서 검정색으로 바꾸었습니다.


저는 좀 무식한 방법으로 찾았습니다만 Color Picker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해당 글자색과 마우스오버색 두개의 코드를 알아냅니다.

#3BAFDA 과 #4FC1E9 라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그런 후 블로그관리 페이지에 들어가서 스킨편집>HTML편집으로 들어가 HTML과 CSS에서 해당 색상을 검색해 봤는데

Calendar에서만 한개가 나오는 겁니다.

Calendar를 바꿀 것은 아니기 때문에 티스토리 블로그관리 페이지에서는 수정이 안됩니다.


맨 처음 스킨적용을 했던 FastBoot 1.6.2 파일의 소스를 찾아봅니다.


다행히 images/fastboot.css에서 해당 색상이 쓰이고 있는 것이 나옵니다.

메모장으로 해당 파일을 열어서 수정을 해주겠습니다.


그 중 링크속성인 a의 속성값이 해당 값으로 세팅이 되어있습니다.

링크속성 말고 다른 값은 건드리지 않았습니다.

링크속성만 바꾸기로 합니다.

a{color:#3bafda;text-decoration:none}a:focus,a:hover{color:#4fc1e9;text-decoration:none}a:focus{outline:0} 

이었던 값을

a{color:#000000;text-decoration:none}a:focus,a:hover{color:#333333;text-decoration:none}a:focus{outline:0}

링크속성 a에는 검정(#000000), 마우스오버 hover에는 회색(#333333)으로 바꿔주었습니다.


image/fastboot.css파일 수정내용을 저장한 후에 파일업로드를 해줍니다.



이제 아래화면처럼 이렇게 검정으로 바뀌었습니다.



제 취향은 그냥 제목이 검정인 게 더 낫네요.


글 목록 글자 색만 딱 바꾸고 싶었지만 목록자체만 그룹으로 묶여있지 않고 목록은 그냥 링크속성값을 쓰고 있어서 

그냥 링크속성에 대해서 다 검정/회색으로 바꿔버렸습니다.


혹시 링크속성은 그대로 두고 목록 글자색만 바꾸는 방법을 아시는 분이 있으면 제보바랍니다.


마칩니다.


반응형
반응형


티스토리 Fastboot 목록 표시방법이 기본이 갤러리형으로 되어있습니다.


이 디자인이 별로 마음에 들지 않아 바꾸기 위해 찾아보니 

스킨편집>HTML편집에 들어가서

아래의 f_categoryDefaultMode 값을 변경하면 되더군요

기본값이 0 이었던 것을 리스트형 1 ,심플타이틀형 2로 바꿀 수 있습니다. 


---------- Category Setting 

0: Gallery (Default)

1: List

2: Simple Title

-------------------------------

*/

var f_categoryDefaultMode = 1;


그런데 바꾼 후에도 목록은 마음에 들게 나왔지만 카테고리를 클릭할 때마다 처음 갤러리형의 잔상이 계속 남아 거슬렸습니다.


예상되기로 화면배치를 갤러리형으로 일단 표시한 이후에 다시 원하는 리스트형이나 타이틀형으로 바꾸는 것 같습니다.


이 잔상이 거슬려서 없애보기로 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최대한 없애려고 했지만 없애지는 못하고 거의 안보이는 정도까지는 바꿔봤습니다.


스킨편집>HTML편집으로 들어갑니다.


search_gallery 를 검색해서 소스의 아랫부분을 찾아서

<div id="search_gallery>에서 아래 지워버린 부분을 지워주면 됩니다.

혹시 나중을 대비해서 지우지는 않고 주석으로 막아버렸습니다.


아래 HTML소스에서 핑크색으로 박스쳐있는 <!-- 와 --> 부분을 따라서 작성합니다.


똑같이 따라서 지워주시면 갤러리형의 잔상을 거의 없앨 수 있습니다.


해당 부분 소스 TXT를 첨부합니다.

갤러리형잔상없애기.txt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