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Flutter 맥북에서 세팅하기

 

flutter mac install 검색해서 Docs 찾아서 해당 페이지 대로 따라하면 됨

그런데 실제로 따라하다보니까 잘 안되는 부분도 있었고 수정내역에 대해 기록남긴다.

  • flutter SDK 설치는 Downlaod & Install 선택해서 애플실리콘용으로 다운받아서 zip을 myusers 폴더에 풀어주고 ~/.zshrc에서 /myusers/flutter/bin 폴더를 패스 걸어줌
  • xcode 설치하는데 맥OS업데이트하라고 해서 버전업 했음
  • install cocoapods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한다. 확인해보니 ruby 버전이 낮아서 안된다는 것이다. 
    • ruby 버전업을 하기 위해
      • brew install rbenv
      • rbenv install -l
      • rbenv install 3.2.9
      • rbenv global 3.2.9
      • ruby -v 해보면 아직 안바뀌어있음 
      • ~/.zshrc 에 맨아래 eval "$(rbenv init - zsh)" 넣어주고 실행하면 바뀌어있음
  • ruby version up 후 cocoapods 정상설치 확인
  • Android Studio 설치한다. 
  • Flutter doctor 해보면 android studio의 cmd-line tool SDK가 설치안되어있다고 설치하라고 한다.
  • 세팅의 아래 메뉴에서 찾아서 설치해줘야함

 

fluttor doctor 로 정상설치 확인완료

fl

반응형
반응형

맥북에어 M1 에서 

USB-c to HDMI 어댑터를 이용해 모니터에 연결

모니터에 스피커가 연결되어있는데

사운드 세팅에서 모니터로 사운드 출력하도록 설정을 해도 소리가 나오지 않는 문제가 있었음

 

케이블은 문제없는 것 확인이 가능했기에 

유일하게 불량 의심할 수 있는 것은 usb-c to HDMI 어댑터.

 

어댑터를 새로 사야하나 하고 알아보는 중 기왕 살 거 좋은걸로 사기 위해 칼디짓 t3 plus 구매

가격대도 저렴하지 않거니와 기기의 만듦새나 손에 만져지는 느낌이 완성도가 높아 이젠 되겠지 했는데

하..... 이것 역시 소리가 모니터에서 출력이 되질 않는다.

 

웹으로 검색을 백방으로 해봤지만 정확한 정보를 찾기 어려웠다가  

어느 레딧 페이지의 답글에서 힌트를 얻었는데 ...

결국은 맥을 재부팅해야하는 것이었음

** 해결방법 ==> 맥북 재부팅

(너무 간단한 해결책이지만 AB테스트를 할 수 없어서 확실한걸로 테스트해보려고 칼디짓까지 샀지만 그래도 안되는 걸 보고 맥북은 원래 안되는건가 했지만 폭풍검색 끝에 해결책을 찾을 수 있었음)

맥북의 의외의 부분에서 참으로 부족함이 있는 걸 봄. 정말 헐이다 헐.

반응형
반응형

1. homebrew 설치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경로설정이 자동으로 되어있지 않으면 아래와 같이 나오는 경우 

zsh: command not found: brew

경로를 수동으로 설정

eval "$( /opt/homebrew/bin/brew shellenv )"

 

2. iTerm2 설치

brew install iterm2

3. oh my zsh 설치

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ohmyzsh/ohmyzsh/master/tools/install.sh)"

4. zsh-autosuggestions 설치

brew install zsh-autosuggestions

 

iTerm2에서 자동완성 미리보기 기능을 설정하려면,
먼저 zsh 쉘과 ohmyzsh, zsh-autosuggestions 플러그인을 설치해야 합니다.
Zsh 쉘 사용자는 brew install zsh-autosuggestions 명령으로 플러그인을 설치한 후,
vi ~/.zshrc 파일을 열어 plugins 목록에
zsh-autosuggestions를 추가하고,
터미널을 다시 시작하거나 source ~/.zshrc를 실행하면 됩니다.

  1. iTerm2 및 zsh 쉘 확인
    먼저 iTerm2를 설치하고 zsh 쉘을 기본 쉘로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Zsh 쉘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brew install zsh로 설치하고, chsh -s /bin/zsh 명령으로 zsh를 기본 쉘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2. zsh-autosuggestions 플러그인 설치
    Homebrew가 설치되어 있다면 다음 명령어로 zsh-autosuggestions 플러그인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코드
  3. brew install zsh-autosuggestions
  4. zshrc 파일 수정
    ~/.zshrc 파일을 텍스트 편집기로 엽니다 (예: vi ~/.zshrc 또는 nano ~/.zshrc).
    파일 내에서 plugins=( ... ) 부분을 찾아 다음과 같이 zsh-autosuggestions를 추가합니다.
    코드
  5. plugins=(git zsh-autosuggestions)
    파일을 저장하고 닫습니다.
  6. 터미널 새로고침
    변경 사항을 적용하려면 터미널을 다시 시작하거나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현재 쉘에 적용합니다.
    코드
  7. source ~/.zshrc

이제 iTerm2에서 명령어를 입력하면 이전에 실행했던 명령어 기록을 바탕으로 자동완성 미리보기가 나타날 것입니다.

## 주의##

이렇게 했는데 plugins (zsh-autosuggestions) 부분에 오류가 나고 안됨

그냥 쉽게 해결하자 싶어서

.zshrc 파일에서 직접 source 추가해줬음

plugins 아래부분에 직접 source /opt/homebrew/share/zsh-autosuggestions/zsh-autosuggestions.zsh 추가해줌

source ~/.zshrc 실행후 정상 작동 확인

 

5. 테마 설정

국룰 테마 설치

git clone https://github.com/romkatv/powerlevel10k.git $ZSH/themes/powerlevel10k

.zshrc 에서 테마 부분 수정 후 다시 로딩

ZSH_THEME="powerlevel10k/powerlevel10k"

하고나면 모 복잡한거 계속 물어보는데 원하는 스타일로 답변해주면됨

6. D2Coding 폰트 설정

https://github.com/naver/d2codingfont 에서 최신버전 받아서 D2CodingAll 클릭해서 설치

iterm2 에서 설정 Settings>Profile>Text 하단의 Font 에서 설치한 D2Coding 선택

7. Syntax Highlighting

brew install zsh-syntax-highlighting
vi ~/.zshrc

#.zshrc 파일 하단에 아래 추가
source /opt/homebrew/share/zsh-syntax-highlighting/zsh-syntax-highlighting.zsh

8. Status Bar 세팅

참고로

윈도우에도 환경세팅을 해야 해서 내용 좀 추가함

WSL 로 ubuntu 설치하고 기본 bash를 MAC 과 같은 zsh 로 

sudo apt-get install -y zsh

chsh -s /usr/bin/zsh

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robbyrussell/oh-my-zsh/master/tools/install.sh)"

테마는 agnoster로 변경후

cd ~/.oh-my-zsh/plugins

git clone https://github.com/zsh-users/zsh-autosuggestions.git
git clone https://github.com/zsh-users/zsh-syntax-highlighting.git

echo "source ${(q-)PWD}/zsh-autosuggestions/zsh-autosuggestions.zsh" >> ${ZDOTDIR:-$HOME}/.zshrc

echo "source ${(q-)PWD}/zsh-syntax-highlighting/zsh-syntax-highlighting.zsh" >> ${ZDOTDIR:-$HOME}/.zshrc

vi ~/.zshrc
plugins=(git zsh-autosuggestings zsh-syntax-highlighting)

 

 

반응형
반응형

키보드에서 한/영 전환키 어디가 좋을까? 생각을 해봤다

 

키보드를 여럿 사용하다가 키보드 HI(human interface)에 대해서 생각해볼만한 내용이 있어 잠시 적어본다.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Caps Lock 자리가 아주 혈맥같은 중요한 위치라는 점이다.

왜 이 중요한 위치에 예전에는 Caps Lock이 위치하게 되었을까?

정확히는 알기 어렵지만 MS에서 그 자리로 정한게 지금의 컨벤션 처럼 된 것은 아닐까 추측해본다.

 

한 번 생각을 해보자.

Caps Lock으로 실제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문단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치기 위한거라면 거의 Shift키를 누르고 타이핑 할 것이다.

아마도 전체글자를 모두 대문자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만 Caps lock을 사용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런 특수한 경우라면 폰처럼 S/W에서 대문자만 나오도록 하거나 

키보드에 꼭 위치시키고 싶다면 잘 안쓰이는 오른쪽 구석에 자리잡아도 되지 않을까?

그런데 정말 중요한 위치라고 생각되는 현재의 Caps Lock자리에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생각이다.

 

실제로 이 자리를 고민했던 키보드를 두 종류 알고 있다.

하나는 HHKB 키보드 (해피해킹)

그리고 다른 하나는 애플 맥의 키보드이다.

해피해킹 키보드는 유닉스시스템에서 많이 사용하는 스타일이어서 Caps Lock자리가 Control키이다.

실제로 사용을 해보면 이게 엄청 편하다.

 

프로그래밍을 많이 했던 과거에 키보드에서 단축키를 많이 사용해서 그랬는지

단축키 누르기 위해 왼손 새끼손가락은 아래로 내리려면 손목에 꽤 힘을 주어야만 가능하다.

이게 늘 써서 모를 수 있지만 막상 해보면 상당히 불편한 각도다.

아마 포토샵이나 영상 등등 컴퓨터로 작업을 하는 사람들은 거의 겪고 있는 문제일 것 같다.

단축키를 사용하는데 왜 손목이랑 손가락 힘이 많이 들어가는지

Caps Lock을 control로 사용해 보면 손이 상당히 편하다. 그래서 컴퓨터 타이핑을 많이 하던 시절에 10년간 해피해킹 키보드를 사용했던 경험이 있다.

물론 그 때문에 HHKB 키보드가 작고 예뻐서 사용했는데 그 레이아웃에 익숙해진거라 앞뒤 순서는 달랐기는 하다.

 

 

반응형
반응형

맥 환경에 익숙해지다보니 가끔 윈도우 PC 사용할 때 불편함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특히 한글/영어 전환하는 키가 서로 너무 다르다.
그래서 바꿔봤다.

윈도우에서도 맥처럼 쓰자
레지스트리 변경으로 편하게 매핑

과거에 키보드에 꽃혀서 이거저거 키보드 많이 썼었다.
기억나는 키보드 중에는
해피해킹 HHKB 키보드가 있다.
한때 오래 사용했었는데 참 변태스러운 키보드였다.

vim 만으로 개발하는 사람들 사용하라고 만든건가 싶은 그런 키보드.

이 키보드는 Caps Lock 자리가 Control 키였다. 
그렇게 사용하는게 익숙해져서 다른 컴퓨터에서 작업을 하려고 하면 항상 헷깔려서 
내가 사용하는 컴퓨터의 다른 키보드에서도 똑같이 세팅해서 사용하기 위해
레지스트리에서 키값을 바꿔버리는 방식으로 사용하곤 했었다.
 
시간은 흘러흘러 애정하던 해피해킹 키보드는 중고장터를 통해 다른 사람 손으로 넘어갔고
다시 보통사람이 되었다.
그래서 잊고 있었던 레지스트리 키매핑
 
지금은 맥을 많이 사용는데 맥에서는 한/영 전환이 Caps Lock 키다.
윈도 피씨와 왔다갔다 사용할 때마다 한영전환할 때 늘 헷깔려서 키를 잘못 누르게 된다.
아예 윈도 한/영 전환 키를 맥처럼 바꿔버리기로 했다
 
키를 바꿔보자 
윈도 피씨에서는 autohotkey 프로그램 등이 있어서 키매핑을 바꿀 수도 있겠지만
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싶지 않아서
예전에 자주 사용하던 레지스트리 매핑을 통해 키값 바꾸기 

capslock_to_control.reg
0.00MB
capslock_To_HangulWin.reg
0.00MB
keymap_reset.reg
0.00MB

 
 

Windows 한영전환을 맥 처럼 CapsLock으로 하는 방법.

※ 이 글은 다음 링크의 댓글에 나온 코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https://www.clien.net/service/board/kin/10008815

medium.com

https://ospace.tistory.com/637

Windows에서 한영키, Ctrl키 리매핑하기

키 매핑 방법 Windows에서 다양한 키 매핑을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한영키를 shift+space 사용하기 CapsLock키를 Ctrl로 사용하기 인터넷에서 검색해보면 다 나오는 내용입니다. 대부분의 Wind

ospace.tistory.com

https://syki66.github.io/blog/2020/07/31/scancode-map.html

써드파티 프로그램 없이 키보드 매핑 바꾸기 - syki66 blog

autohotkey를 이용한 키보드 매핑 변경하는 법은 이미 포스팅을 하였는데, 만약 써드 파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사용자들도 많은데, 이때 Scancode Map을 사용하면 간편하

syki66.github.io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