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꽃가루 철이 돌아왔습니다. 

제 경우 참나무 자작나무 꽃가루 알레르기가 있어서 4월초부터 4월 내내 꽃가루 알레르기로 고생을 하곤 합니다.

늘 같은 시기에 늘 같은 증상으로 괴롭기 때문에 예측할 수 있다는 점은 좋습니다.

저처럼 알레르기 증상을 보이는 항목에 대해 병원에서 검사를 해서 그 종류를 아는 사람이라면

기상청 홈페이지의 생활기상정보 지수별 항목에서

참나무, 소나무,잡초류 이렇게 세 항목으로 안내를 해주니

아래 링크의 기상청 홈페이지에서 확인을 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네요

참고로 참나무 자작나무는 비슷한 시기에 꽃가루를 날리므로 대표지수로 참나무만 보셔도 무방합니다.

 

주소링크 :

https://www.weather.go.kr/weather/lifenindustry/jisudaymap_D06.jsp

 

참나무 > 꽃가루농도위험지수 > 보건기상지수 > 지수별 > 생활기상정보 > 생활과 산업 > 날씨 > 기상청

 

www.weather.go.kr

 

제가 해보니 페이지 로딩이 좀 느립니다.

다 로딩이 완료되는 데 5~10초 이상 기다려야 페이지가 다 열립니다.

혹시라도 멈춘건 아니니 좀만 기다려주세요.

제가 최근에 계속 확인을 했었습니다. 이제 꽃가루가 창궐할 시기가 다가왔다는 걸 경험으로 아는거죠.

그 결과 오늘 (2020년4월10일) 드디어 수도권 지역에서 참나무 꽃가루가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코로나로 인한 마스크 사용이 습관화가 되었는데. 야외 활동시 더욱더 마스크 사용을 강화해야 겠습니다.

지도에서 꽃가루 위험지수를 표현해주고 있습니다.

 

제가 최근 종종 확인해었고, 그 때는 그냥 전국적으로 회색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는데 오늘 드디어 주의해야 하겠습니다.

아래는 최근까지의 안전했던 날들의 모습입니다.

4월 5일에는 전국에 전혀 보이지 않았던 꽃가루 위험지수

 

 

4월 8일부터 성남시 , 하남시 부터 시작해서 살짝 꽃가루가 보이기 시작합니다.

 

혹시라도 감기걸릴 일이 없는데 감기 증상처럼 콧물이나고, 눈이 간지럽고, 눈꼽이 끼는 그런 증상이 나타나는 분이시라면 꽃가루 알레르기를 한 번 의심해 보세요

제 경우 병원에 가니까 등판에 바둑판처럼 구획을 나눠놓고, 각종 시약들을 바늘로 찔러 실험해 보고 부풀어 오르는 정도를 보고 어떤 물질에 대해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지 알 수 있더라고요.

이걸 알기 전에는 내가 왜 이렇게 힘든지도 몰랐었는데

이제는 왜 힘든지 알고, 그에 대한 약처방을 받아서 약을 먹으니 좀 살 것 같습니다.

힘든 꽃가루철 다들 슬기롭게 이겨냅시다.

앞으로 한달만 고생하자 자연의 섭리를 내 몸이 못따라가 주는걸 어찌하리 ㅎㅎㅎ

 

 

반응형

반응형

강동구 고덕지구,

2015년즈음인가 고래힐 입주 및 미분양때부터 쭉 봐왔었는데

그 때 투자하지 못한 실책 만회하기 위해 지금이라도 투자하는 것은 나에게는 어려운 일이다.

2017년부터 시작된 서울 상승장에서는 어찌 해볼 도리가 없었고

물량이 몰려있던 2020년 올초에도 어찌 해볼 도리가 없었다.

입주물량이 쏟아졌들어왔으나 이미 4~5년간 관망만 한 상태에서 지금 투자하는 건 무리다.

 

어짜피 내 현금도 다 막혀있는 상황이라 선택지도 많지는 않다.

어짜피 추가매입은 꿈에서나 가능한 일이고 갈아타기 타이밍만을 보고 있는 입장에서는

현재 거주하는 아파트와의 가격차이만을 지켜보면 된다.

 

다음에 확인해볼 시점을 정하고 기록해두기 위해서 포스팅을 작성한다.

다음에는 2022년초 2년차 물량이 나올때를 확인해봐야겠다. 절대로 가격이 하락할 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진심임.

현재 거주하는 아파트와의 가격차이만을 바라볼 뿐이다.

그럼 내후년에 보자~

그동안 살기 좋은 환경 잘 만들어 두길 바란다.

고덕아 당분간 안녕~ 

 

ps.

고덕이야기 하면서 하남미사 이야기를 안할 수 없어 곁다리 이야기

고덕 물량으로 힘들어하는 하남 미사도 물량이 끝나가는 시점에는 다시 매력도가 부각될 것으로 예상.

하남 미사도 관심갖자.

동탄의 입주물량으로 근방 용인, 수원이 얼마나 오래 힘들어 했는지 기억하자

하남 미사도 다시 한 번 순서가 올거고 차례를 기다리자.

반응형
반응형

자료제공 : 통계청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3/2/index.board?bmode=read&aSeq=373591)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국내 경제활동인구 2700여만명 중 실업자 제외 2600만명이다.

아래 기사에 나오는 예탁결재원 자료에 의하면 국내 주식투자 인구는 610만명 정도가 된다.

경제활동을 하고 소비에 주축을 이루는 국민들은 대략 3000만명 정도에 이를 것으로 예상이 되고

주식투자인구가 610만명이라 하니 

대한민국 자영업시장에서 소비의 주축을 이루는 인구의 1/5정도가 주식투자를 하고있다고 예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통계자료에 1인당 투자금액까지 나와 있지 않아서 추측을 해보았다 (이 부분은 개인적인 추측입니다. 통계에서 자료를 찾으신 분이 있다면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1인당 평균보유 주식은 15000주로 1주에 대략 1만원으로 후려쳐서 잡아본다면

1인당 평균투자금액은 1.5억원 정도가 된다. (예상치)

 

최근 주식 폭락으로 30% 정도 하락했다고 보면 1인당 추정 손실금액은 4500만원 정도이다.

그런데 슈퍼개미나 고액투자자들이 존재하기에 20%의 상위계층이 80%의 부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고 데이터를 보정하면,

일반투자자의 평균 손실금액은 2000~3000만원 정도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코로나로 인한 유가증권시장에서 가계의 손실금액은 평균 2000만원 이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이 손실금액으로 인해 가계소비를 줄일 것인가? 아니면 가계소비가 늘 것인가?

 

새로운 주장을 한 번 해보려 한다.

가계들이 손실을 보았기에 가계 소비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이 되지만 오히려 정 반대의 상황이 나올 수 있다는 생각이다.

가계의 소비가 늘어날 수 도 있다.

1. 폭락장에서 돈을 벌었다면
 ==> 소비가 늘것이다.

2. 폭락장에서 쪽박을 찼다면
 ==> 어짜피 인생 머있나.... 그냥 조금 남아있는 돈 의미없다. 그런 돈에 대한 회의감이 느껴져 펑펑 소비가 늘 것이다.

3. 폭락장에서 평균치 2000~3000만원 손실이라면
 ==> 천만원 휴지조각 되는거 쉽네 하면서 맥북 150만원짜리는 싸보일 것.
        1000만원 없으나 1100만원 없으나 도찐개찐이다 그냥 사고 싶었던거 그냥 아끼지 말고 산다. 소비진작 

4. 큰손이었다가 쪽박찼으면 
 ==> 매일 신라호텔에서 밥먹다가 동네상권 식당에서 밥을 먹을 것이므로 동네상권에 도움.
        대기업은 어떻게든 잘 살아남음 실질적인 자영업시장에 도움되는 소비성향 변화

5. 검소했던 사람이 쪽박찼으면
 ==> 매일 집에서 밥먹던 사람이 집에서 쫓겨나서 시장에서 밥을 사먹을 것이므로 동네상권에 도움.
        비소비계층에서 소비계층으로의 변화

 

ps. 사고싶었던 그토록 비쌌던 맥북프로 가격이 갑자기 왜 이렇게 싸보이지.... ㅋㅋㅋ
     하는 한 개미투자자의 지극히 개인적인 주장해봅니다. 

 

끝.

반응형
반응형

키네마스터로 영상 편집을 하고있는데 아쉬운 내용이 있어서 포스팅합니다.

스마트폰 화면이 작아 화면이 큰 갤럭시탭을 사용해 편집을 하려 했습니다.

갤럭시탭은 내장메모리 용량이 부족해서 외장USB, 외장 SSD에 저장되어있는 미디어를 불러오려고 했습니다.

 

갤럭시탭에 키네마스터 앱을 설치하고, 외장드라이브에 동영상 파일을 넣은 후 갤럭시 탭에 연결했습니다.

키네마스터를 열고 미디어를 불러오려 했는데

미디어를 찾을 수가 없네요, 옵션을 다 둘러봐도 미디어 폴더를 설정하는 부분이 없습니다.

보통의 왠만한 어플들에서 브라우저에 확장이 가능해서 미디어 폴더를 원하는 곳에서 가져올 수가 있는데

키네마스터처럼 대형 스타트업에서 만든 앱에서 이 기능이 없다는 사실을 알고 너무 놀랐네요.

 

구글링을 해보는 데 이런 내용으로 검색이 잘 되질 않습니다.

한글로는 자료가 없어서 영어로도 검색을 해봤습니다

kinemaster import external usb media 이렇게 해도 내용이 나오는 게 없길래 

키네마스터 포럼에도 들어가 뒤졌는데 비슷한 질문이 있네요

관리자의 답변이 unfortunately 로 시작하네요, 앞으로 구현할 계획이 있다고 하니 기대해 봅니다.

작년 4월의 답변이었는데 11개월이 지난 지금까지도 아직 구현이 안된 것 같습니다.

아쉽다.

아쉬워.

구글링 하다가 한 가지 재미있는 걸 알게 되었는데

제작한 영상을 sd-card로 내보내기 강좌 같은게 유튜브에 있는겁니다.

그래서 어~ 잘하면 힌트가 될 수 있겠다 해서 살펴보니

찾은 모든 방법이 다 자동 파일이동하기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kinemaster export 폴더의 파일을 특정폴더로 이동시키는  프로그램을 사용한 내용들이 전부네요.

참 아쉽다 아쉬워~~

 

그런데 글을 작성하면서 알게된 사실 sdcard 는 되는구나 올~ ㅎㅎ

sdcard 는 미디어 불러오기 가능
외장 USB드라이브는 미디어 불러오기 불가능

 

키네마스터 담당자님께 부탁드립니다~

미디어 폴더 선택 확장 가능하도록 좀 해주세요~ 제발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