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노의 질주 더 익스트림

John.Wick.2014

John.Wick.2017

Transcendence 2014 


판의 미로 오필리아와 세 개의 열쇠

프로메테우스 (2012)

Alien Covenant

공각기동대 Ghost in the shell

Limitless

Into the Wild 2007


불한당 2017

다가오는 것들.l.avenir

태풍이 지나가고

걸어도 걸어도

The Deveils Violinist

Sully.2016

American Sniper

Life 2017

45년 후

덩케르크

브이아이피

Gravity.2013

Kingdom of heaven 2005

Her.2013

Perfect World 1993

거북이는 의외로 빨리 헤엄친다 2005

킬러의 보디가드 2017

All Eyez on me 2017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2003

The Man from Earth 2007

범죄도시 2017

Get out 2017

Baby Driver 2017

Wind River 2017

River Road 2015 물길따라 푸른 초원 위 집으로 돌아가는 길

발레리안 천 개의 행성의 도시 Valerian.and.the.City.of.a.Thousand.Planets.2017

그을린 사랑 Incendies 2010 (드니발뇌브) 


메리와 마녀의 꽃 2017

심야식당1

심야식당2

오리엔탈 특급열차 살인사건 1974

겨울왕국 극장에서 코코랑 같이 한거

코코 2018 by 픽사


신세계 2013

여인의 향기.1992

어바웃 타임 2013

The.Body.2012

The.Incident 2014


살인자의 기억법 2017

번지점프를 하다 2001

램페이지 2018

La La Land 2017

크리미널 스쿼드.Den.Of.Thieves.2018

디트로이트 2017

킹아더 2004

Life 2015 제임스딘 데니스스톡, 데인드한


김씨표류기 2009 정재영,정려원

뻐꾸기 둥지위로 날아간 새 1975 One Flew over the Cuckoo's Nest

퀸카로 살아남는 법. Mean Girls 2004 


B급 며느리 2018

아수라 2017

미션임파서블 폴아웃 2018

사랑의 블랙홀 1993

탐정 리턴즈2 2018 권상우 성동일

반응형
반응형

요즘 8.2 대책으로 다주택자들이 타겟이 되어서 양도세 중과를 한다고 한다.

이참에 절세를 위한 다주택자의 양도순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케이스를 준비했다.


케이스1

2014년 3월 A주택 구입

2015년 4월 B주택 구입

2015년 5월 C주택 구입


솔루션1 

C주택 매도. 양도세 일반세율(6~36%) 과세

A주택 매도. 한시적 1가구 2주택으로 2년보유 조건을 갖춰 양도세 비과세

B주택 매도. 1가구 1주택 조건으로 2년 보유 조건을 갖춰 양도세 비과세

솔루션1번은 상식적으로도 충분히 가능할 것 같고

국세청의 Q&A에서도 가능하다고 검색해서 확인을 해보니 양도세비과세 가능하다고 한다.


그런데 B주택 먼저 매도한다면 그래도 A주책 배도시 양도세가 비과세 될까? 확신이 들지 않았다.

확신이 들지 않았던 이유는 B주택이 없어졌다 하더라도 A, C주택이 남은 상태에서 

C주택의 매수시점이 1주택인 상태가 아닌 2주택인 상태에서 구매한 것이어서

A, C주택 2주택이라도 C주택은 매수시점이 이미 2주택이었다는 점이 좀 찜찜했다.

혹시나 1가구 2주택으로 인정을 못받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이 경우를 솔루션 2번 케이스로 자세히알아보았다.


솔루션2

B주택 매도. 양도세 일반세율(6~36%) 과세

A주택 매도. 한시적 1가구 2주택으로 인정받아 양도세 비과세가 가능할까? ==> 이걸 알아보자

C주택 매도. 1가구 1주택 조건으로 2년 보유 조건을 갖춰 양도세 비과세


이를 위해 양도소득세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봐야 합니다.

양도소득세 1세대1주택 또는 일시적2주택 비과세 여부는 양도일 현재의 현황을 기준으로 판단


< 일시적 2주택 비과세요건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1항

국내에 1주택을 소유한 1세대가 그 주택(종전주택)을 양도하기 전에 다른 주택을 취득함으로써 일시적으로 2주택이 된 경우로서 종전의 주택을 취득한 날부터 1년 이상이 지난 후 다른 주택을 취득하고 그 다른 주택을 취득한 날부터 3년 이내에 종전의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이를 1세대 1주택으로 보아 보유기간이 2년 이상이면 비과세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단, 양도가액 9억 원을 초과하는 고가주택은 과세됨]

시행령에 나온 정보를 바탕으로 글자 그대로 대입을 해보면

양도일 현재 A주택과 C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A주택을 매도하려는 상황.


"종전의 주택(A주택)을 취득한 날로부터 1년 이상 지난 후 다른 주택(C주택)을 취득" ==> 만족

"그 다른 주택(C주택)을 취득한 날로부터 3년 이내에 종전의 주택(A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 만족

"이를 1세대 1주택으로 보아 보유기간이 2년 이상이면" ==> 만족


비과세 적용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한가지 문장에서 좀 찜찜하다.

B주택을 매도한 이후 2주택(A,C주택 보유)한 상태에서 대입해보면

1주택을 소유한 1세대가 그 주택을 양도하기 전에 다른 주택을 취득함으로서 일시적으로 2주택이 된 경우(?)

현재는 2주택이지만 C주택을 구입한 시점이 2주택을 소유한 1세대가 A주택을 양도하기 전에 C주택을 취득함으로서 일시적으로 3주택이 된 경우라서

매도시점이 아닌 매수시점을 관점으로 보면 좀 애매해 지기는 한다. 그래서 


좀 더 정확히 하기 위해 국세청에 해당 Case에 대해서 문의를 한 결과

솔루션1' 의 경우도 한시적 1가구 2주택으로 인정받아 A주택 매도시에 양도세 비과세 를 적용받을 수 있다고 함


결론 

솔루션1, 솔루션2 모두 A주택매도시 양도세 비과세 가능




솔루션1번 참고자료.

https://teer.hometax.go.kr/home.do?url=pub%2FgetReq_view&mode=getReq_view&reqId=M3ODk=MTA0MT




솔루션2번 참고자료
세법상담-양도소득세
등록일
2017-08-06
3주택자에서 일시적2주택자로 바뀔 수 있는지요?
2014년 3월 A주택 구입
2015년 4월 B주택 구입 후 2017년 5월 매도(양도세 정상적으로 납부)
2015년 5월 C주택 구입

이렇게 2017년 5월 전까지 3주택을 보유하다가
B주택을 매도후 A,C 2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A주택을 매도할 때 일시적 1주택자로 인정받아 양도세 비과세를 적용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질문첨부파일
3주택자에서 일시적2주택자로 바뀔 수 있는지요?
답변일
2017-08-07

안녕하십니까?


항상 국세행정에 대한 관심과 협조에 감사드립니다.



1. < 일시적 2주택 비과세특례 >


국내에 1주택을 소유한 1세대가 그 주택(종전주택)을 양도하기 전에 다른 주택을 취득함으로써 일시적으로 2주택이 된 경우로서 종전의 주택을 취득한 날부터 1년 이상이 지난 후 다른 주택을 취득하고 그 다른 주택을 취득한 날부터 3년 이내에 종전의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이를 1세대 1주택으로 보아 보유기간이 2년 이상이면 비과세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단, 양도가액 9억원을 초과하는 고가주택은 과세됨]



2. 양도소득세 비과세 판단은 양도일 현재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므로,



귀 사례 B주택을 양도한 후, A주택과 C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A주택을 양도하는 경우로서 상기의 일시적 2주택 비과세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비과세를 적용받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 서면인터넷방문상담4팀-1541 , 2008.06.26



[ 제 목 ]


1세대 1주택 비과세 범위



[ 요 지 ]


양도소득세가 비과세되는 “1세대1주택”은 양도일 현재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임


관련법령
조 항 * 본 답변은 신청자가 제시한 자료만을 근거로 작성하였으며, 법적 효력을 갖는 유권해석(결정, 판단) 이 아니므로 각종 신고, 불복청구등의 증거자료로서의 효력은 없습니다.
답변첨부파일


반응형
반응형
이번 6월 28일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가 정식으로 오픈한다는 공지가 떴습니다. 
그동안에도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를 사용해서 블로그도 등록시키고 했었던지라 지금까지가 베타버전이었는지 모르고 있었는데
이제 정식으로 오픈을 하는것이었네요.

정식오픈했다고 해서 다시 확인도 할 겸 들어가보니 UI나 메뉴 구성이 조금씩 달라진 부분들이 있습니다.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페이지에 접속을 해서 확인을 해보겠습니다.

http://webmastertool.naver.com/


P-RANK ?

기존과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은 사이트최적화에서 내 사이트의 품질에 대해서 코멘트를 보여준다는 점입니다.

네이버가 밝히는 사이트의 품질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AI 기반의 웹사이트 품질 분석 및 활용 기술인 ‘P-RANK’ 개발하여 반영했다고 합니다.


사이트를 몇가지 카테고리로 나눠서 평가를 하고 이를 점수화 해서 보여주는 듯합니다.

- 웹표준을 준수하는지 여부

- 검색에 필요한 태그 활용 여부

- 사이트가 참조된 사이트의 백링크 (외부평판 분석)

- 사이트 활성화 여부 (꾸준한 컨텐츠 생산)

그리고 해당 세분화한 항목에 대해서 충족, 부족부분을  코멘트로 알려줍니다.

이걸 P-RANK라고 이름 붙인 것 같고 기존의 알고리즘들에 몇가지 추가해서 새로운 알고리즘을 발표한 것입니다.

아마도 P-RANK를 바탕으로 검색에 나타난 웹사이트의 순위 평가해서 순위가 높은 사이트를 상위에 노출시켜 주겠죠


블로그와 카페에 적용되어있는 C-RANK는 컨텐츠가 얼마나 양질의 컨텐츠인지를 평가해주는 알고리즘으로 주로 해당 블로그, 해당 카페 자체(Creator한명 or 그룹)에 점수를 부여해 지수화하는 개념이라고 이해하면 될 듯합니다.

이번에 웹마스터도구에서 말하고있는 P-RANK는 페이지들로 구성된 사이트의 품질은 페이지들간에 서로 연결되고, 어떻게 참조하고, 기여하는지를 보고 기여도가 높은 페이지들에 점수를 보여해 지수화 하는 것 아닐까요.

AI robot을 활용해서 내가 만든 웹사이트가 얼마나 웹표준을 준수하며, 태그를 정확히 사용했는지, 사이트활성화가 되고 있는지에 대해 기존에도 잘 분석해서 빅데이터화 했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번에 P-RANK라는 이름까지 나오면서 뭔가 강화되고 추가된 알고리즘이 있을 텐데 이게 바로 사이트간의 링크관계에 대한 분석쪽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평판 높은 사이트가 내 사이트의 페이지를 참조할 경우 더 높은 점수를 받는다고 하니 내 사이트의 백링크를 분석해서 종합적인 평가를 하는 알고리즘인 것입니다.

이는 예전의 C-RANK의 초기 개념인 contribution based web page ranking algorithm 을 웹사이트로 확장한 것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웹페이지에 포함된 키워드들을 분석하여 직간접적으로 공유 혹은 기여한 바를 분석하여 기여도가 높은 웹페이지의 순위를 결정해주는 것입니다. C-RANK에서 중요시하는 독창적인 컨텐츠라면 다른 웹페이지의 기여받은 부분은 적을것이고 기여한 바는 높을 가능성이 크다. 그래서 독창적인 컨텐츠이고 기여도가 크면 상위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질것이다.


P-RANK 왜 P일까?

알고리즘 이름이 왜 P가 들어갔는지 나와있지 않아서 나름으로 추측 해 보면
C-RANK는 C는 Creator의 약자로 알려져 있다. 컨텐츠 크리에이터(저자)가 얼마나 좋은 컨텐츠를 만드는 저자인지를 점수화해서 상위노출 기준으로 삼는 것이다. 
그렇다면 P-RANK는 Pages(?, Site는 Page들로 구성)의 P를 따와서 이름지은게 아닐까? Page Rank는 20년전 구글에서부터 사용했던 용어이긴 하지만 네이버의 P-RANK에서는 해당 웹사이트, 여러 Pages들의 링크들을 분석해서 웹사이트의 품질을 평가하는 알고리즘이라는 생각이다. 엄밀히는 Pages Quality Rank 정도의 의미로 추측을 해봅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Contribute의 의미로 시작된 C-RANK가 오히려 마케팅을 하며 Creator의 의미라고 말하고 있고, P-RANK의 Pages가 오히려 Contribute의 의미가 더 강화된 내용이어서 결국은 P-RANK도 C-RANK에 흡수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  

Good Creator -> Good Pages -> have many back links -> Web Site contributing 


내 사이트의 점수는?

내 사이트가 상위 몇프로로 잘 관리된 사이트라는 점수도 알려주기도 합니다.

이번에 확인해보니 상위 5%의 사이트라고 알려주네요, 지난 번에는 이런 멘트가 없었는데 AI가 평가가 최근 완료가 되었나봅니다.


내 사이트가 점수가 일정 수준 미달일 때는 아래와 같이 뜹니다. 점검을 해보라는 것이지요. 

하지만 좀 관리가 되고 네이버가 요구하는 조건에 맞추어 세팅을 하고 나니

아래와 같이 평가에서 점수(?)를 보여줍니다. 제 티스토리 블로그는 웹표준을 준수하여 상위 5%에 해당한다고 평가해줍니다.

상위 1%가 될 수 있도록 더 노력을 해봐야겠네요...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끝.




반응형
반응형

이전 포스팅에서 부터 시작된 Camera Comparison 관련 글들 한동안 연제하게 될 것 같습니다.

각종 커뮤니티 보면서 알게 되는 이야기, 느낀 점에 대해 적게 될 것 같습니다.


요 앞에 카메라 비교글입니다. 이 글도 한 번 읽어보시면 재미있을겁니다.


http://happycode.tistory.com/369



최근 폰 글보다보니 내 폰은 좀 오래되었는데 그래도 과거이 평가를 보고싶어졌습니다.

제가 아직 G4를 사용하고 있어서요


찾으니 나오네요

이런 기사 재미있어요


http://www.phonearena.com/news/Best-smartphone-cameras-compared-Samsung-Galaxy-S7-vs-iPhone-6s-Galaxy-S6-LG-G4_id79056




영어라 다 해석은 안되지만

이미지만 봐도 비교가 되고 스마트폰 마다 특징들을 알 수 있어 좋습니다.


그런데 결론은 정말 제가 생각했던거와 달라서 놀랍네요

전 아이폰이 사진이 가장 잘 나온다고 생각했고

삼성폰이 사진이 가장 잘 안나온다고 생각했는데 


아니네요 

삼성폰이 리뷰에서는 가장 좋은 점수를 계속 받고 있는 걸 보면서 

사진찍으려면 V20아니면 삼성폰으로 가야겠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다른 분들 생각은 어떠신가요?

아니면 실제로 사용하시는 분들의 사진들을 올려주시면 보면서 감탄하면서 더욱 더 뽐뿌가 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사진들 많이 올려서 공유하고 서로 뽐뿌 주고 자랑질도 좀 하고 그러면 좋겠습니다.




Camera specs
Samsung
Galaxy S7
iPhone 6sSamsung
Galaxy S6
LG G4
Resolution and
aspect ratio
12MP @ 4:3
4032 x 3024 pixels
12MP @ 4:3
4032 x 3024 pixels
16MP @ 16:9
5312 x 2988 pixels
16MP @ 16:9
5312 x 2988 pixels
Sensor and
pixel size
1/2.5"
1.4 μm
1/3"
1.22 μm
1/2.6"
1.12 μm
1/2.6"
1.12 μm
Focal length
and aperture
26mm
F1.7
29 mm
F2.2
28 mm
F1.9
28 mm
F1.8
Focus and
stabilization
Dual Pixel AF
Optical stabilization
Phase detection AF
No OIS
Phase detection AF
Optical stabilization
Laser AF
Optical stabilization


Conclusion

Final score
Galaxy S77.6
Galaxy S67.3
LG G47.1
iPhone 6S6.8


반응형
반응형

한동안 파스타에 꽃혀서 이런 저런 파스타를 많이 먹었습니다.


외식할 때 뭐먹을까 생각하다가


이도저도 딱히 먹고싶은게 없을 때 파스타를 먹으러 가곤 했습니다.


그만큼 파스타가 먹고나서 만족감이 높은 음식이라는 생각입니다.


파스타를 이렇게 좋아하는데 집에서 만들어 먹어야겠죠?


마트 쇼핑중 파스타 소스가 보이면 관심을 가지고 시식코너에서도 먹어보고 제가 좋아하는 맛을 찾았습니다.


맛이 다 좋은 건 아니더군요 ^^



소스 없이 집에서 다 만들 수도 있긴 하지만 파스타는 라면처럼 간단하게 조리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기에 집에 소스를 몇 개 사두었습니다.


알리오올리오 파스타 만들기 핵심 포인트

1. 올리브유와 마늘의 향이 메인

2. 면 끓일 때 소금간이 핵심

3. 해산물이 들어가면 금상첨화


알리오올리오 파스타를  만들 때 소스를 사서 넣겠지만 


실제로 지난 번에는 마트에서 파는 파스타용 소스 없이도 만들어 먹어봤습니다.

올리브유와 마늘, 양파, 소금간에 칵테일새우만 넣고 조리했는데 이렇게만 해도 맛이 있었습니다.

음식점에서는 여기에 매콤한 맛을 더한 통후추를 넣고 몇가지 허브류를 넣어주죠.


집에 통후추가 없고 허브류가 마늘밖에 없으니 맛의 풍미를 더하기 위해 소스를 사는 것이겠죠. 조금이라도 더 맛있게 먹으고요 ^^


파스타를 바라보는 관점

파스타는 복잡한 요리가 아닙니다. 라면 끓이는 정도의 정성만 들여서도 만들 수 있습니다.


몸에 좋을 것 같은 허브 등의 재료들을 다 넣고 올리브유에 볶듯이 익혀먹으면 그게 다 알리오올리오 파스타가 됩니다.

 



만드는 방법


재료

1. 마늘, 납짝썰기를 하여준비

2. 양파

3. 스파게티면

4. 올리브유

5. 소금간을 위한 소금

6. 칵테일 새우

7. 파스타용 소스 (optional)


1. 파스타 면을 준비한다. 일반 스파게티면이면 좋다.



2. 끓인 물에 파스타 면을 넣는다.



3. 끓이는 물에 소금을 작은 스푼으로 넣어서 간을 해줍니다.



4. 면이 익는 동안 다른 팬으로 부재료들을 익혀줍니다.

   올리브유를 팬에 두르고 납짝썰기한 쎈불로 잠시 익혀줍니다.

   여기에 양파를 넣고 소금간을 적당히 해줍니다.

   (이 때 나는 냄새만으로도 알리오올리오 파스타 끝난 것 같습니다. ^^)



5. 부재료를 쎈불에 익히는 동안 파스타 면이 익고 있습니다.





6. 익은 면을 부재료들을 익힌 팬 에 옮겨담고, 소스를 적당량을 부어줍니다.



7. 팬에서 쎈불에 휘휘 저으면서 면에 맛이 배이도록 1~2분 정도 더 익혀줍니다.

   


8. 익히면서 간을 합니다. 

   이 때 간을 파스타 끓인 물로 하는 것입니다.

   파스타 끓인 물에 소금간이 되어있어서 약간 짭짤합니다.


   그리고 면과 재료들을 넣고 쎈불로 익히다보면 물기가 없을 경우 눌어붙을 수 있습니다.

   

   이 때 파스타 끓인 물을 조금씩 넣으면서 간도 하고 촉촉함도 유지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앞에서 만들 때 이걸 감안해서 소금간을 해주셔야 한다는 점이 조금 어렵습니다.


   간이 모자라면 소금을 넣으면 되고

   간이 좀 과했으면 맹물을 조금 넣어줍니다.


   하지만 두세번 정도 해보면 금방 적정량을 알게 됩니다.




완성했습니다. 이제 맛있게 먹으면 끝.


반응형

+ Recent posts